‘2008 세계 물의 날 기념 물 관리 심포지엄 및 전시회’ 오는 27일부터 제주에서 개최
해양수산부가 최근 관련법을 공포한 상황이며 관련업계 역시 해양심층수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물 산업의 새로운 블루오션이 될지에 대해 실질적인 담당자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의견을 모은다.
‘국내 심층수 개발의 현주소 및 세계 상품화 전략’이라는 큰 주제를 가지고 주무부서인 해양수산부 해양개발과의 최익현 서기관, 해양심층수의 병물 생산에 대한 타당성에 대해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이수재 박사가 발표를 한다.
또한 국내에서 해양심층수 전반에 대해 총괄적인 틀을 만들어 낸 장본인이기도 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심층수연구센터장인 김현주 박사와 실질적으로 업계에서 일하고 있는 강원심층수 김선교 상무가 나와 국내 심층수 개발의 현주소와 상품화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에 대한 다각적인 주제발표를 있을 예정이다.
이 밖에도 지역 특성을 살린 제주도 용암해수사업단의 사업개요 및 해저 용출수의 우수성과 사업화에 대해 부경대 박맹언 교수가 발표를 한다.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김종만 원장, 신라대학교 마린바이오산업화지원센터 배송자 센터장 등은 지역특성화에 따른 심층수 개발과 해외 개발 사례들을 통해 국내 접근방식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2008년 새해 첫 해양심층수 관련 세미나인 만큼 관련 업계 및 관련자들에게 관심을 모으고 있다.
2월 27일~ 2월 29일(2박3일간)
제주국제컨벤션센터 (www.iccjeju.co.kr)
2월 28일(목)
F세션: 심층수 분과 - 국내 심층수 개발 현주소 및 세계 상품화 전략 (좌장: 조용진 교수)
10:35~11:00 해양심층수 개발에 따른 제도적 장치 - 최익현 해양수산부 해양개발과
11:00~11:30 이수재 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사
11:30~12:00 김현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심층수연구센터장
▶ 12:00~13:00 점심식사 (오찬)
13:20~13:50 해저 용출수의 우수성과 사업화 - 박맹언 부경대 교수
13:50~14:20 국내 심층수 상업화 현황 및 업계 동향 - 김선교 (주)강원심층수 상무
14:20~14:50 심층수 해외 사례에 대한 발표 - 배송자 신라대학교 마린바이오산업화지원센터장
14:50~15:10 coffee break (20분 휴식)
F세션: 심층수 분과 - 국내 심층수 개발 현주소 및 세계 상품화 전략 (좌장: 박명술 교수)
15:10~15:40 심층수를 이용한 연계 산업화 전략 - 김종만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장
15:40~16:10 해양심층수 개발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개요 - 김충환 수자원연구원 상하수도연구소 정수팀 박사
16:10~16:40 국내 심층수 개발 및 산업의 현주소 - 김형기 해양심층수 산업협의회 간사
16:40~17:10 제주용암해수사업단-이영돈 단장
▶ 17:10~18:00 종합토론(지정토론자)
이팔진(초당대학교 교수)/조길영(울산대학교 겸임교수)/김치훈(한국공항 상무)/김연화(소비생활연구원 원장)
심층수란? [深層水, deep water]
해저 근처의 저층수와 위쪽의 중층수 사이에 있는 약 1000~4000m 부근의 수괴를 말한다. 수온은 1~2℃로 낮고 밀도가 높다. 심층수의 유동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들이 많은데, 심해순환에는 새로운 이론과 관측사실이 늘어나고 있으며, 현대 해양학의 큰 과제이다.
환경타임즈 개요
환경타임즈는 1992년 7월31일 창간한 환경전문신문(주간신문) 및 인터넷환경방송(GKBS)으로서 매년 상하반기 물 관리 심포지엄 및 전시회를 주관 주최하고 있다. 환경 분야 다양한 이슈와 문제점을 부각하고 개선하는데 앞장서 왔다. 특히, 국내 물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와 기업 간 네트워크 구성, 함께 WIN-WIN하는 창구를 활성화 하고 있다. 이 밖에도 자매지로는 국내 유일 물 전문 신문인 상하수도신문(2006년 9월11일 창간)과 식품의약저널(2008년 7월 8일 창간)이 있다. 또한 한국물환경정책연구소(2010년 8월16일 법인설립)를 설립해 환경 분야 전문 세미나 및 전시회를 기획 운영하고 있다. 올해로 창간 32주년을 보내고 있는 환경전문 언론사다.
웹사이트: http://www.envtimes.co.kr
연락처
환경타임즈 편집국 이상무 기자, 02-2281-4114, 011-9997-5074,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