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지하수 수질전용측정망 확대·개편 계획 발표
아울러 동 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국가측정망 4천 지점, 2030년까지 지역측정망 3만3천 지점을 확충하여 전국 지하수의 정확한 수질현황을 파악, 향후 지하수 수질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07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측정망(총 2,341지점) 중 86%가 이동지점으로 고정관측 밀도가 유럽 환경청(EEA)이 적정 수준으로 제시하는 4개/100㎢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0.32개/100㎢), 대부분 개인 소유 관정을 측정망으로 지정·활용하고 있어 관정폐쇄·채수거부로 인한 잦은 지점 변경, 취수원 관리 부실로 인한 오염문제가 지속 제기되었으며, 수질 측정항목도 해당 관정의 이용 목적과 관련된 용도별 항목(14~20개 항목)만 조사하여 먹는물(총48개 항목) 기준 만족 여부 및 다양한 오염물질의 전반적인 함유실태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 지하수의 정확한 수질현황 및 다양한 광물질 함유 실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질 및 유역 특성을 고려한 측정망 설치가 필요함에도 현재의 측정망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관정을 지정하여 활용함으로써 기준에 부합하는 최적 위치 선정도 한계가 있어 왔다.
※ 現 측정망 체계
- 구성 : 오염우려지역(781개, 환경청에서 운영), 일반지역(1,240개, 시·도에서 운영), 건교부 국가관측망(478개, 수자원공사에서 운영)
- 조사항목 및 횟수 : 먹는물 기준에는 총48개 항목을 측정하고 있으나 대장균 등 비음용 지하수 수질기준 14~20항목에 대해 연2회(상·하반기) 조사
따라서 환경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체계적인 지하수 수질관리 확립을 위해 유역 및 지질 특성과 폐금속광산 등 대규모 오염원을 고려한 “지하수 수질측정망 확대·개편 계획”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국가측정망은 2020년)할 계획이다.
우선 전국 유역·지질 특성별 지하수 수질 조사를 위한 배경 수질 측정망(1,304개) 및 산업단지, 매립장 등 대규모 오염원의 지하수 영향 파악을 위한 오염감시 측정망(2,164개) 등으로 구성된 국가 소유 측정망 4천 지점을 2020년까지 확보할 것이다.
※ 배경 수질측정망 : 전국 435개 유역·지질 단위 기준으로 오염원 영향이 없는 자연 상태의 수질 파악
오염감시 측정망 : 산업단지(230), 폐광산지역(219개) 등 대규모 오염원으로부터 수질 영향 파악
조사항목은 먹는물 수질기준 전 항목(48개)과 노로바이러스 등 신규 오염물질이 포함되며, 토지이용 및 주변 오염원 여건에 따라 필요항목을 추가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노로바이러스 : 사람의 장에서만 서식하는 장관계 바이러스로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오염된 물이나 식품 등을 통해 감염
또한 현행 측정망 2,341지점은 지자체로 업무를 이관하여 지역측정망으로 통합하고 지역 내 비상급수시설, 마을상수도, 학교 등 공공 관정을 지하수 측정망으로 편입하여 2030년까지 지역측정망 3만3천 지점을 확충함으로써 전국 공공관정의 지하수 수질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건설교통부 등 타 기관에서 고유 목적을 위하여 설치·운영중인 지하수 관측망을 수질측정망으로 편입하여 공동 활용함으로써 측정망 운용의 효율성도 극대화할 예정이다.
※ 타 기관 운영중인 지하수 관측망
- 국가지하수관측망(건교부, 320지점, 지하수 수량관측), 해수침투조사관측망(농림부, ‘11년까지 136지점, 해수 침투 감시), 먹는샘물관측망(환경부, 75지점, 지하수 수량·수질 정기적 관측)
지하수수질측정망이 확충되면 우리나라 지질특성별 지하수 수질 파악이 가능하여 지역별 맞춤형 수질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며, 특히 오염우려지역의 경우 지하수 오염원인 파악 및 원인자에 의한 정화 추진 등 지하수 수질관리 기반이 구축될 것이다.
환경부는 「지하수수질측정망 확대·개편 계획」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지하수법」관련 규정 개정, 측정망 확대에 따른 예산확보 등의 관련 조치도 병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상하수도국 토양지하수과 정종선 과장 02-2110-6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