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어린이 보육시설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시범사업 실시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에 비하여 비염은 35.6%, 천식은 16.6%가 증가(국민건강보험공단, ’06.12)하는 등 환경성질환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어서 국민적 해결요구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특히 영유아 및 어린이의 경우 환경성질환이 중점 발생하여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는 등 실내공기오염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성질환 사전예방을 위해서는 실내공기질 등 유발인자에 대한 노출차단과 저감방안 추진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시설별 실내공기오염 특성과 노출경로 등에 대한 체계적 규명과 개선을 위한 실천프로그램은 거의 없었다.
이번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시범사업은 수도권 보육시설(‘06년기준 전국 약 2만 8천개소)을 대상으로 참여 희망을 조사하였고, 105개의 참여신청 보육시설 중 규모, 지역, 개선 필요성 여부 등을 고려하여 이중 60개소를 선정, 현재 기초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기초 현황조사를 토대로 20개소를 선정하여 정밀진단 및 시설개선(환기설비, 친환경자재, 공기청정기 설치 등)을 실시하고, 연말에 보육시설 관리자 등을 위한 실내공기질 관리매뉴얼을 개발·보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사업참여를 촉진하고 자발적인 개선노력을 촉구하기 위하여 참여시설에 대해서는 “좋은 공기 마크(Good Air Mark)"를 부여하는 방안도 강구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실내공기질 개선·진단 시범사업에 대한 참여와 호응이 예상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이를 모델로 민감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과 법적 관리의무가 없는 소규모시설 등으로 실내공기질 개선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내년에도 다른 시설로 확대 실시하고, 금년에 아동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추가 실시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 ‘07년 환경부 실내공기질 실태조사결과, 아동·노인복지시설의 경우 미세먼지 (91.8㎍/㎥)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
한편, 환경부는 국가차원의 아토피 예방 및 퇴치를 위해서「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2008년부터 보육시설의 관리대상을 연면적 1,000㎡ 이상 국공립 보육시설에서 연면적 430㎡ 이상의 민간보육시설까지 확대한 바 있으며, 앞으로 의료기관·병원 등을 아토피·천식 등 환경성질환 전문진료센터로 지정(’09년까지 11개소)하고, 보건복지부에서 추진하는 보건소 등 아토피·천식 퇴치센터의 저소득층에 대한 방문서비스 사업과도 적극 연계해 나갈 계획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대기보전국 생활환경과 박미자 과장 02-2110-6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