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은 유능, 여성은 준법

서울--(뉴스와이어)--운전자들 대부분은 자신의 운전 습관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남녀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남성 운전자들은 운전에 관련된 능력이나 지식을 묻는 문항에서 여성 운전자들보다 자신감을 보였으며, 여성 운전자는 교통법규와 관련된 문항에서 더 높은 긍정률을 보였다.

소비자 조사 전문 기관인 에프인사이드(www.f-inside.com 대표 김진국)는 6,011명을 대상으로 자동차 운전 행태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경향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운전자들의 90% 이상이 "나는 교통흐름을 잘 따른다(95.4%)", "나는 경음기와 라이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줄 안다(91.8%)"고 응답해 무리 없는 운전과 사고 예방 능력에 자신감을 보였으며, 80% 이상이 "나는 항상 안전 벨트를 맨다(89.9%)", "나는 공격적이거나 위협적이 운전을 하지 않는다(88.2%)", "나는 방어 운전 덕에 사고를 피한 경험이 있다(85.6%)", "나는 차선 변경 시 차가 없어도 방향 지시등을 켠다(83.0%)" 등 안전 운전에 충실하다고 답했다. 또한 "나는 다른 운전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항상 배려한다(82.9%)", "나는 양보를 잘한다(82.5%)"라고 답해 스스로를 기품 있는 운전자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교통법규(73.7%), 수신호 요령(71.0%), 타 운전자의 행동 예측(69.0%), 사고 처리(58.9%) 등에 대한 지식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자신감을 보였으며, 1/3만이 "나는 지금까지 조그만 사고도 낸 적이 없다(34.2%)"고 답했다.

이런 경향을 남녀간으로 비교하면 큰 차이가 있었다. 먼저, 남성은 자동차 운전 습관과 행동, 지식에 대한 14개 문항 중 "나는 사고 처리 요령과 절차를 잘 안다(27.3%P)", "나는 다른 운전자의 행동 예측을 잘 한다(25.9%P)", "나는 교통 법규를 잘 안다(16.4%P)", "나는 수신호 요령을 잘 알고 있다(12.1%P)", "나는 방어 운전 덕에 사고를 피한 경험이 있다(11.3%P)" 등 5개 문항에서 여성보다 10%P 이상 높은 긍정률을 보였다. 이는 남성이 지식과 능력면에서 여성보다 큰 자신감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여성 운전자는 "나는 속도 제한을 잘 지킨다(15.5%P)", "나는 차선 변경 시 차가 없어도 방향 지시등을 켠다(6.0%P)", "나는 항상 안전 벨트를 맨다(5.5%P)", "나는 공격적이거나 위협적인 운전을 하지 않는다(4.4%P)" 등의 문항에서 남성보다 높은 긍정률을 보여, 준법 운전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면 유식한 것과 법을 잘 지키는 것 중 어느 편의 사고율이 낮은가? "나는 지금까지 조그만 사고도 낸 적이 없다"의 문항에서 여성(35.4%)이 남성(33.9%)보다 1.5%P 낮아 준법 운전이 판정승을 거두었다.

연령별 운전행태를 살펴보면 20대는 14개의 질문 항목 중 "나는 지금까지 조그만 사고도 낸 적이 없다"에서 가장 높은 응답 비율(39.6%)을 보였을 뿐 나머지 전 부분에서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는 운전 경력이 짧기 때문으로 보인다. 30대는 안전벨트 하나만은 확실하게 매는 것으로 조사됐다. 30대 응답자중 90.5%가 "나는 항상 안전벨트를 맨다"고 응답,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밖에 "나는 경음기와 라이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줄 안다"는 응답도 92.4%로 가장 높았다.

40대는 교통흐름을 잘 따르고(96.9%), 방어운전으로 사고를 피하고(87.6%), 다른 운전자의 행동예측을 잘하고(72.2%), 사고처리 요령과 절차를 잘 안다(63.2%) 등의 부문에서 최고 응답률을 보였다.

50대는 공격적이거나 위협적인 운전을 하지 않으며(94.3%), 다른 차가 없어도 방향 지시등을 켜고(91.2%), 다른 운전자가 불편하지 않게 배려할 뿐 아니라(89.8%), 양보를 잘하고(87.0%), 교통법규(79.3%)와 수신호 요령(78.4%)을 잘 알고 속도제한(72.8%)도 잘 지키는 등 가장 많은 부분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차종별로 살펴보면 수입차와 대형 승용차가 비교적 법규를 준수하고 경차가 준법운행에 비교적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차는 교통흐름, 경음기와 라이트 사용, 방어운전, 타 운전자에 대한 배려, 교통법규와 수신호에 대한 지식, 다른 운전자의 행동예측, 사고처리 요령과 절차 등에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차가 최고응답률을 보인 항목은 단 하나도 없었는데, 그 주된 이유는 상대적으로 여성 운전자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소형차는 안전벨트 착용, 속도제한 준수, 조그만 사고도 낸 적이 없다는 등 세 가지 항목에서 최고응답률을 보였다. 준중형차는 최고응답률 없이 양보와 조그만 사고도 낸 적 없음 두 가지 항목에서 최저 응답률을 보였다.

대형 승용차는 교통흐름을 잘 따름, 경음기와 라이트의 사용, 방향 지시등 사용, 교통법규에 대한 지식 등의 항목에서 다른 차종보다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수입차는 방어운전, 타 운전자에 대한 배려, 양보, 수신호 요령, 타 운전자의 행동예측, 사고처리 요령과 절차 등의 항목에서 수위를 차지했지만 안전벨트 착용률은 83.8%로 가장 낮아 안전성을 과신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니밴은 공격적이거나 위협적인 운전을 하지 않는 대신, 방향 지시등을 켜는 비율과 속도제한을 지키는 비율은 가장 낮았다. SUV와 중형 승용차는 단 한 항목에서도 최고나 최저 응답률을 기록하지 않았다.

이 조사는 에프인사이드가 2004년 7월 실시한 대규모 자동차 기획조사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 조사의 모집단은 e메일 사용자였으며, 자료수집은 온라인 우편조사방법을 사용했다.

위 분석에 대한 모든 권한은 에프인사이드와 오토타임즈에 있으며, 어떤 경우에도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

에프인사이드 개요
자동차 품질조사(IQS), 가전제품 품질조사, 고객만족도 조사(CSI), 정치 품질조사 등 온라인 리서치 기반의 대규모 고객 조사를 기본으로 하는 마케팅리서치 및 사회여론조사 기관입니다.

웹사이트: http://www.f-inside.com

연락처

02-543-5294~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