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상수원 상류 하수처리시설 ‘총인’ 처리강화

서울--(뉴스와이어)--상수원 상류에 위치한 하수처리시설의 총인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팔당·대청호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 상류지역내 4개 하수처리시설을 시범적으로 운영(’08.7 ~’09.4)하게 된다.

최근 주요 상수원 지역의 경우 BOD는 많이 개선되었지만, 연례적으로 조류가 발생하여 상수원 수질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조류발생의 원인이 되는 “총인”의 오염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멸된 조류의 부패 등으로 난분해성 유기물질 지표인 COD도 높아지고 있다.

“총인”의 주요 배출원인 하수처리시설의 경우 BOD(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및 COD(화학적산소요구량) 처리효율은 96.3%, 89.1%로 높지만, “총인”은 70~80% 수준에 불과하다.

※ 조류발생 일수 : 팔당호 14일(’04), 15일(’05), 20일(’06), 18일(’08)
(주의보, 경보 포함) 대청호 14일(’04), 127일(’05), 185일(’06), 28일(’07)

현재 하수처리시설은 유기물질의 제거효율은 높지만 “총인”의 제거효율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화학적인 처리방법의 추가가 필요하나 비용부담 등으로 실제 적용이 어려웠다.

환경부는 우선 시급한 팔당·대청호 특별대책지역 등 주요 상수원 관리지역에 화학적 처리를 도입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을 덜기 위해 수계관리기금에서 처리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번 시범운영계획은 하수처리시설의 고도처리설비에 예비용으로 설치된 간이 약품투입설비가 부착된 점에 착안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간단한 약품투입설비만 추가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환경부의 업무를 위탁받은 전문기관에서는 금년 8월중 처리시설을 진단하여 적정한 약품의 종류와 투입량, 단계별 처리목표를 정하여 향후 6개월간 운영을 지도하고, 총인 처리효율 등을 평가하게 되며,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관할 유역환경청과 처리목표 준수와 시범운영에 관한 협약서를 체결하고 하수처리시설의 시범운영에 적극 협조할 예정이다.

아울러, 환경부는 내년 5월까지 시범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수계관리기금의 확대 지원을 통해 화학적 처리시설을 확충·운영토록 하는 등 “총인”의 관리를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물환경정책국 물환경정책과 김상배 과장 02-2110-682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