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대강의 수생태계 건강성은 ‘양호’ 수준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총 540개 구간에서, 하천의 수질 이외에 하천내 서식하는 생물상(조류, 저서생물, 어류)과 하천환경(서식환경, 수변환경, 수변식생) 등 하천의 생태학적 요소 6개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와 평가를 실시한 것으로 5대강 수계의 생물상은 조사구간의 48.2%가 “양호(B등급)”이상, 하천환경은 55.3%가 “양호(Ⅱ등급)”이상으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수질기준인 BOD와 비교해 볼 때,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양호” 이상 비율이 BOD “좋음” 이상(2mg/l 이하)” 비율 65%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이화학적 수질(BOD, 영양염 등)이 ‘물의 맑기’만을 표현하는 반면, 수생태계 건강성은 하천의 ‘동·식물의 건강성’을 표현
< 생물상 조사 및 평가 결과 >
수질오염을 판정하는 “부착조류”, 하천 먹이사슬의 1차 소비자인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 서식지 상태를 나타내는 “어류” 등 3개 분야에 대한 수중「생물상」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국 하천의 우점종은 부착조류 Achnanthes 속(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깔다구류(악화 지표종), 어류 피라미(보통 지표종)로 조사
부착조류 총 출현종수는 남한강(164종), 영산강(161종), 한강 본류(155종)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북한강(112종)에서 가장 적게 출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한강 수계 218종, 낙동강 수계 165종, 금강 수계 96종, 영산강/섬진강 수계 127종이 출현하였으며, 양호상태의 지표종인 강하루살이는 북한강 수계, 등줄하루살이는 섬진강 수계에서 우점종을 차지한 반면, 악화상태의 지표종인 실지렁이는 한강 본류, 낙동강 수계에서 우점종 차지
어류 조사 결과 한강수계(임진강 상류, 남한강 상류, 소양강)에서 천연기념물인 어름치 출현, 금강 수계 정안천에서 최근 채집기록이 없었던 흰수마자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대표적인 외래어종인 떡붕어, 베스, 블루길 이외에 1955년 양식목적으로 이식된 나일틸라피아가 안성천 수계 황구지천에서 다수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나일틸라피아는 겨울에 자연적응이 어려운(10℃ 이상 서식) 것으로 알려져 있고, 양식장 주변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있으나 황구지천에서 1,2,3년생 어류가 고르게 출현, 자연에서 번식 확인
생물상에 따른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한 결과, 양호 이상(최적, 양호) 구간 비율이 부착조류 32~43%(174~233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 76%(408 구간), 어류 31%(167 구간)로 평가되었다.
대권역별로는 금강이 56.9%로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영산강·섬진강(50.4%), 한강(44.5%), 낙동강(40.8%) 순으로 평가되었으며, 수계별로는 북한강(62.5%), 남한강(52.8%)이 우수한 반면 한강 본류(26.3%)가 비교적 열악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부착조류 건강성을 ‘유기물 오염지수(DAIpo)’, ‘영양염 오염지수(TDI)’로 평가한 결과 영산강, 금강, 섬진강, 북한강 순으로 양호하였으며,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건강성을 ‘한국오수생물지수(KSI)’로 평가한 결과, 섬진강 수계가 “최적”, 남한강, 북한강, 금강 수계가 “양호”한 반면, 한강본류와 한강 기타수계가 열악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섬진강은 옆새우, 재첩, 다슬기 등 최적(A등급) 상태의 지표생물종이 출현한 반면, 한강본류는 물달팽이, 거머리류 등이 보통(C등급) 지표 생물종 출현
어류 건강성을 “어류생물지수(IBI)”로 평가한 결과, 북한강, 남한강이 '양호'한 수준, 그 외 수계는 ‘보통’ 수준으로 평가 되었다.
※ 최적(A 등급) 상태 지표종인 금강모치가 남한강, 북한강에서, 버들치가 남한강, 한강본류, 낙동강 및 섬진강 등에서 우점종 차지한 반면, 악화(D 등급) 상태 지표종인 붕어가 한강본류, 영산강 등에서 우점종 차지
< 하천환경 조사 및 평가 결과 >
하천서식 생물의 다양성, 서식상황 판단을 위한 “생물서식환경”, 하천의 인위적인 개발여부, 오염원 등을 나타내는 “수변환경”, 식물의 공간분포와 종류 등 자연성을 나타내는 “수변식생” 등 3개 분야에 대한 수변「하천환경」조사를 실시한 결과, 생물서식환경은 섬진강 수계가 자연적인 수로 형태 유지, 넓은 제내지, 다양한 하상구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 어류이동에 방해가 되는 횡 구조물이 많았으며, 한강 본류, 금강 수계가 상대적으로 서식환경이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변환경은 섬진강 수계가 사행하천 구간이 많고, 자연상태 구간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양호하였으나 주변 농경지와 축산농가로부터 오염원 유입 우려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한강 본류는 하도와 저수로 직강화, 저수로·호안공·인공구조물 설치구간이 많아 전반적으로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변식생 조사결과 식물 출현종수는 남한강 수계 477종, 낙동강 수계 115종, 금강 수계 144종, 영산강 수계 99종, 섬진강 수계 125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외래종수는 한강 수계 62종(출현종의 13%), 낙동강 수계 22종(38.3%), 금강 수계 21종(14.6%), 영산강 수계 14종(14.1%), 섬진강 수계 14종(11.2%)으로 조사되었다.
식생다양성은 금강, 자연도는 북한강, 종다양성은 한강 기타 및 섬진강 수계 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천환경에 따른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한 결과, 양호 이상(매우 양호, 양호) 구간 비율이 생물서식환경 56%(305 구간), 수변환경 76%(408 구간), 수변식생 25%(414개 구간 중 138 구간)로 평가되었다.
대권역별 “양호”이상 비율은 영산강·섬진강이 59%로 높았으며, 금강 55%, 한강 54.2%, 낙동강 53.3% 순으로 평가되었으며, 수계별로는 북한강(77.3%), 섬진강(68.6%)이 우수한 반면 한강 본류 (37.0%)가 비교적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생물서식환경에 대한 건강성을 ‘생물서식환경지수’로 평가한 결과 섬진강, 한강 수계가 “양호”하고, 낙동강과 금강, 영산강 수계가 ‘보통’ 상태로 평가되었다.
매우 양호한 구간(생물서식환경지수 24점)은 한강수계 흥정천 등 9개 지점, 매우 불량한 구간(생물서식환경지수 6점)은 한강22 등 2개 구간이 선정
수변환경에 대한 건강성을 ‘수변환경평가지수’로 평가한 결과 금강, 섬진강, 북한강 수계가 가장 양호하고, 한강본류 수계가 가장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매우 양호한 구간(수변환경평지수 40점)은 한탄강 등 10개 지점, 매우 불량한 구간(수변환경평가지수 13점)은 왕숙천5 구간이 선정
수변식생에 대한 건강성을 ‘수변식생 자연도 지수’로 평가한 결과, 북한강 수계의 “양호”(Ⅰ, Ⅱ 등급) 이상 구간이 57.7%를 차지하여 가장 우수하였으며, 금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수계의 “보통” 이상 구간이 90%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강수계 중 수변식생 자연도지수가 높은 곳(91점)은 화양천 2, 방태-소 3 구간, 가장 낮은 곳(22점)은 성북천 구간이 선정되었다.
<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종합 >
수계별 수생태 건강성은 북한강 수계가 가장 우수, 남한강, 섬진강, 금강 수계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한강 본류가 가장 악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북한강 수계가 BOD “좋음” 이상 구간 비율이 80%로 가장 높았으며, 부착조류 “양호”이상 46%, 어류 “양호”이상 59%, 서식환경 “양호”이상 86%, 수변식생 “양호”이상 58%등으로 높게 분석되었으며, 반면 한강 본류는 BOD “좋음” 이상 구간비율이 34%로 가장 낮았으며, 부착조류 “양호”이상 18%, 어류 “양호”이상 20%, 서식환경 “양호”이상 60%, 수변식생 “양호”이상 30% 등으로 전반적으로 낮게 분석되었다.
이화학적 수질(BOD)과 생물(부착조류·어류)에 의한 수생태 건강성 평가 결과를 비교한 결과, 생물상에 의한 평가결과가 BOD에 의한 평가 결과에 비해 1/2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40개 조사구간 중에서 BOD는 65%(351개 구간)가 “좋음” 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수생태 건강성 평가에서 “양호”이상 등급비율은 부착조류 38%(208개 구간), 어류 31%(167개 구간)로 BOD에 비해 절반 정도에 불과(저서생물 제외)
⇒ 이화학적 수질(BOD)이 수생태 건강성 평가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원인은 인위적 영향에 의한 생물서식처 교란이 주원인으로 분석
생물상과 하천환경 수생태 건강성 평가결과 “양호”이상 등급 비율이 생물상은 48.2%(부착조류, 저서생물, 어류 평균), 하천환경(서식, 수변, 식생 평균)은 55.3%로 평가되어, 수중 생물상의 건강성 상태가 하천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분석되었다.
<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발전방향 >
국내에서 처음으로 하천의 수질환경 이외에 수중 생물상, 수변 하천환경 등 하천의 물리·화학·생물학적 요소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조사·평가하는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체계를 도입함으로써, 우리나라 하천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를 선진화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앞으로 하천의 수생태 건강성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 “수질 - 생물 - 수변”을 통합하여 평가하는 수생태 건강성 통합평가 기법과 체계를 개발해 나갈 계획이며, 이를 위해 정량적인 수생태 건강성 평가를 위해 수치화된 평가지수와 등급 등 평가기준을 ‘09년도까지 보완·발전시키고, 이후 “수질 - 생물 - 수변”을 통합하는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을 마련하는 등 법적체계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수질측정망 지점, 복원 필요구간, 기후변화(환경) 및 토지이용 변화를 판단 구간, 보전 필요구간 등 조사구간의 확대를 통한 수생태 측정망을 확립하고,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를 위한 인력확보 등 인프라 구축 및 확대 해 나갈 계획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물환경정책국 수생태보전과 이규만 과장 02-2110-7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