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주식시장 긍정적 전망”...HSBC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 조사 발표
HSBC은행 개인금융부 존 고다드 부대표는 “펀드 매니저들은 경기 침체 우려로 선진국이 전반적으로 약세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하지만 미국, 아태지역 및 신흥시장을 포함하는 대다수 국가의 매력적인 증시 밸류에이션 때문에 장기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HSBC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조사는 13개의 세계 최대 글로벌 자산운용사들1을 대상으로 분기별 펀드 투자금 유출입과 향후 투자 전망 및 글로벌 자금 흐름을 조사한 보고서이다. 투자금 순유출입액 (net money flow)2은 펀드 잔고 변화와 동일 자산군의 인덱스 변화를 비교하여 산출된다.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13개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3분기 말 현재 운용하고 있는 펀드의 잔고는 미화 3조 8400억 달러이며, 세계 전체 펀드 잔고 추정금액3의 17.45%에 해당한다.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펀드 순유출금액 (net fund outflow)은 4620억 달러로 2분기에 비해 10.74% 감소했다. 주식형 펀드에서 약 3,020 억 달러가 빠져나간 가운데, 전체 순유출금액 중 채권형 펀드 (796 억 달러) 및 혼합형 펀드 (597억 달러)의 유출액이 3분의 1을 차지했다. MMF에서는 6억 달러가 유출됐으며 기타 펀드에서는 200억 달러가 유출됐다.
HSBC은행 개인금융부 존 고다드 부대표는 “글로벌 경기침체의 불안감 때문에 3분기에 주식형 펀드 및 채권형 펀드의 실적이 저조했다. 특히 가장 높은 자금 유출을 기록한 신흥시장 증시에서 투자자들은 선진국의 경기후퇴로 신흥시장이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이 미 국고채의 안전성을 추구함에 따라 미국 채권이 가장 높은 자금 유입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투자자산에 따른 2008년 4분기 전망
50%의 펀드 매니저들이 주식에 대한 투자비중을 확대할 것이라고 답해 3분기 22%에서 크게 증가했다. 투자비중을 축소할 것이라는 답변은 30%로 3분기의 44%보다 감소했다.
채권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답변은 3분기 44%에서 50%로 증가했으며, 3분기에는 투자 비중을 축소하겠다는 답변이 없었던 것에 반해 4분기에는 20%의 펀드 매니저들이 비중을 축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25%의 펀드 매니저들은 현금투자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해 3분기의 38%보다 감소했으며, 3분기에 현금 투자 비중을 축소하겠다는 답변이 없었던 것에 반해 4분기에는 13%의 펀드 매니저들이 비중을 축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존 고다드 부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는 단기 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됨에 따른 펀드 매니저들의 장기적인 견해를 시사한다. 주식 투자에 개선된 견해를 보이는 것은 밸류에이션 때문이며 채권과 현금 투자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투자 지역에 따른 2008년 4분기 전망
펀드 매니저 중 56%는 4분기에 일본을 제외한 아태지역의 증시에서 투자비중을 확대할 것이라고 답해 3분기의 44%보다 증가했다. 펀드 매니저의 22%는 투자비중을 중립으로 유지할 것이라 답하여 3분기의 33%보다 감소했다.
신흥시장 증시에 대해 56%의 펀드 매니저들은 투자 비중을 확대할 것이라고 응답해 3분기의 50%보다 다소 증가했다. 투자 비중을 축소할 것이라고 응답한 펀드 매니저는 33%로 3분기의 13%보다 증가했다.
펀드 매니저 중 30%는 미국 증시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할 것이라고 답변해 3분기의 22%보다 증가했다. 투자 비중을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3분기 44%에서 4분기 50%로 증가했다.
범중화권 투자에 대해서는 63%의 펀드 매니저들이 투자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했던 3분기와 대조적으로 4분기에는 25%만이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답했다. 3분기에 범중화권에 대한 투자 비중을 축소하겠다는 답변은 없었으나, 4분기에는 13%의 펀드 매니저들이 비중을 축소하겠다고 답했다.
3분기에는 미국 채권 투자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펀드 매니저가 없었던 반면, 4분기에는 11%의 펀드 매니저들이 투자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여전히 과반수 이상인 56%의 펀드 매니저들이 미국 채권에 대한 투자 비중을 축소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는 3분기의 44%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펀드 매니저 중56%는 유럽 채권 투자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해, 3분기의 22%보다 낙관적인 전망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립을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33%로 3분기의 67%보다 감소했다.
존 고다드 부대표는 “펀드 매니저들이 4분기에 아태지역 및 신흥시장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이 지역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확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중국 본토의 저조한 성장에 대해서는 큰 우려를 표했고, 범중화권에 대한 시각에 영향을 미쳐왔다. 유동성, 시장 정서 및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금리인하 경향 (easing bias) 덕분에 인해 유럽 채권은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상했다.”
“특정 지역의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때문에 장기 소매 투자자들이 시장에 점진적으로 재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 세계의 저조한 경제 성장률의 위협으로 여전히 높은 불확실성이 산재해있다. 계속해서 시장의 변동성은 현실로 다가올 것이다. 투자자들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면서 포트폴리오의 대부분을 현금 및 고정 수입을 제공하는 투자처에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동시에 엄선된 주식 투자를 통해 자산을 천천히 옮기는 작업 또한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자산군, 섹터 및 지역에 대한 분산투자와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매입하는 일반적인 분산투자를 핵심 전략으로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kr.hsbc.com
연락처
HSBC은행 정지향 이사 2004-0951
뉴스커뮤니케이션스 최은정/ 강지연 이메일 보내기 / 김진아 02-6323-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