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자동차, 온실가스 저감 효과 가장 높아”...자동차 배출가스 관련 세미나 개최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성능연구소 권해붕 팀장은 11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주최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개최된 ‘자동차 배출가스 특성 및 인체위해성에 관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쏘나타(2.0) 3종(휘발유, 경유, LPG)에 대한 배출가스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CVS-75모드와 ECE15+EUDC모드 모두에서 LPG차량이 주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와 아산화질소를 가장 적게 배출했다.
CVS-75 모드에서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은 LPG < 휘발유 < 경유 순이며, ECE15+EUDC 모드에서도 LPG < 경유 < 휘발유 순으로 LPG가 적게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산화질소(N2O)의 경우에도 LPG < 경유 < 휘발유 순으로 LPG가 적게 배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를 총괄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강광규 연구위원은 국내 저탄소・친환경자동차 보급을 위해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높은 LPG차량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수송용 휘발유, 경유, LPG의 상대가격비를 현행 100:85:50으로 지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발표했다.
LPG차량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연비 및 출력 향상 등을 위한 기술개발이 중요하며, 무엇 보다 LPG 연료를 적용할 차종 확대 및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경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에 저탄소 연료 적용과 지원이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 이산화탄소 뿐 아니라 아산화질소, 메탄가스(CH4) 등 주요 온실가스 유발물질과 주요 배출규제물질을 고려한 친환경자동차 보급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하대학교 산업의학과 임종한 교수는 인체 위해성에 대한 연구결과, 미세입자(PM10)의 대기 중 농도가 10㎍/㎥ 증가시 총 사망률은 1%,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0.5%, 호흡기질환 사망률은 1.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산화질소(N2O)의 경우 10ppb 증가시 총 사망율이 2.6%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발표했다.
특히, 경유차량에서 배출되는 미세입자는 인체 호흡기 증상과 천식 유사 증상 등 급성영향과 호흡기 염증이나 폐기능 저하 등의 만성영향을 유발하며, 제한적으로 폐암과 같은 발암성과도 관련성이 있으므로 경유차에 대한 PM을 계속 줄여야 한다고 발표했다.
웹사이트: http://www.kei.re.kr
연락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통합오염관리연구실 임종억 연구원 02-380-7646
이 보도자료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11년 7월 8일 0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