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TU 발표 정보통신발전지수 세계 2위

서울--(뉴스와이어)--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3월 2일 각국의 정보화 수준을 측정하는 정보통신발전지수(ICT-Development Index) 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하였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154개국 중 2위를 차지하면서 정보사회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정보통신발전지수는 ICT의 접근성, 이용, 활용 능력을 평가하는 총 11가지 세부 지표로 구성되며 이용해 한 나라의 정보통신 발전정도와 국가간 정보격차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는 디지털기회지수(DOI, Digital Opportunity Index)와 정보통신기회지수(ICT-OI)를 ’07년까지 발표하여 왔으나, ‘06년부터 2년여간 관련 전문가들과 ITU 전체 회원국들의 논의를 통하여 단일 지수를 확정·발표한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그간 바람직한 정보화 지수 개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논의에 참여하고 우리나라 의견을 반영하여 왔다.

이번에 발표한 지수에서는 스웨덴이 1위를 차지하였고, 덴마크, 네델란드가 3, 4위를 차지하였으며 10위권 이내에는 우리나라를 제외하고 전부 유럽국가가 차지하였다. 영국은 10위, 일본은 12위, 미국은 17위에 랭크 되었다.

세부지표별로 우리나라는 국제인터넷 대역폭 지표에서는 다소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인터넷 접속 가구 비율 1위, 무선초고속 가입자수 2위 등 인터넷 이용 측면에서 월등한 평가를 받아 종합순위 2위에 랭크 되었다.

아울러, 동 지수를 활용하여 2002년과 2007년의 정보통신 발전 정도를 평가하는 자료도 발표하였다. 스웨덴은 2002년과 2007년에 각각 1위를 차지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02년 3위에서 2007년 2위로 1단계 상승하여 우리나라 정보통신 수준이 세계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정보통신발전지수는 그동안 이루어진 정보통신부문의 급속한 발전과 개도국에서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인 정보격차는 해소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재유 방송통신위원회 국제협력관은 “정보통신 개발의 촉진과 세계정보격차해소를 위해 노력하는 등 다양한 정책방안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 개요
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며, 방송과 통신의 균형발전과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통령 직속 합의제 행정기구로 출범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된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방송의 독립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고, 방송과 통신의 균형 발전 및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등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cc.go.kr

연락처

방송통신위원회 공보실 02-750-151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