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예총, 트로이 전쟁 문학 다루는 대중문예강좌 개설

서울--(뉴스와이어)--민예총 문예아카데미는 4월2일부터 격주 토요일 오후 4시에 트로이 전쟁문학을 다루는 대중문예강좌 <트로이 전쟁>을 개설한다.

트로이 전쟁을 다룬 문학작품은 수두룩하지만 그 중 최고봉 꼽히는 것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이며 다양한 그리스 신화와 전쟁문학의 원전으로 평가된다.

이 강좌는 이 세 작품을 각각 6회에 걸쳐서 모두 18회로 진행하면서 현대인에게 낯설고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장치들의 의미를 설명하고 유명한 대목들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전체의 구조를 한 눈에 들어오게 정리할 예정이다. 최근 <아이네이스>의 번역서까지 출판되었으니, 이제 혼자서는 읽기 어려운 고전문학에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셈이다.

강사로 참여하는 강대진 박사는 서울대학교에서 서양고전학을 전공했고 문예아카데미에서 고대 그리스 문화 관련 특강을 진행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영화와 신화>, <잔혹한 책읽기> 등이 있다.문의는 문예아카데미 홈페이지(www.myacademy.org) 또는 전화 02)739-6854로 할 수 있다.

세부내용

“[대중을 위한 문예교실]은 다른 누구보다 월요일부터 금요일 또는 토요일까지 직장에서 일해야 하는 사람들을 위한 강의입니다. 물론 주중 주말 가릴 것 없이 노동해야 하는 주부들에게도 강의는 열려있습니다. 소중한 주말을 영어회화나 오락이 아닌 예술과 철학을 벗삼아 보내려는 사람들을 위하여 격주 토요일 오후 4시에 강좌를 개설합니다.

봄학기부터는 트로이 전쟁을 다룬 문학작품 ≪일리아스≫,≪오뒤세이아≫(호메로스), ≪아이네이스≫(베르길리우스)를 각각 6주씩 살펴보는 강좌를 마련했습니다. 이른바 트로이 전쟁 3부작!! 기대하세요. 고전문학이 결코 지루하지 않다는 것을 이번 강의를 통해 입증해 보이겠습니다.”

[대중문예강좌]
트로이 전쟁 3부작
제1부 ≪일리아스≫
개강일시 ㅣ 2005-4-2
강의시간 ㅣ 격주 토, 16:00, 6강

유럽 최초의 문학작품인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함께 읽는다. 혼자서는 읽기 어려운 이 고전작품에서 현대인에게 낯설고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장치들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하고, 전체의 구조를 한 눈에 들어오게 정리하는 한편, 중요하고 유명한 대목들을 자세히 살펴본다.

*주교재: 천병희 역, <일리아스>, 단국대출판부, 2001

1. 희랍 서사시 입문 - 간단한 희랍문학사, 명칭의 문제, 트로이아 전쟁, 호메로스 문제, 공식구(formula) [04.02]
2. <일리아스>의 전체 구조 - 나흘 간의 전투와 되돌이 구성, 직유와 인물 소개 [04.16]
3. '배들의 목록', '성벽에서 바라보기', 갑옷교환, 헥토르와 안드로마케의 만남 [04.30]
4. 밤의 사절단, 제 10권 문제, '제우스 속임', 네 영웅의 죽음 [05.14]
5. 아킬레우스의 방패, 축소형, 헥토르의 죽음 주변, 대조의 기술, <아이티오피스> 문제 [05.28]
6. 장례식 경기, 헥토르 시신 반환 (영웅의 저승 여행), 구조 되돌아보기, 슬라이드 상영 [06.11]

* 이후 강의일정 안내
트로이 전쟁 3부작
제2부 ≪오뒤세이아≫(호메로스)- 여름학기 예정
제3부 ≪아이네이스≫(베르길리우스)- 겨울학기 예정

** 강사약력

이름: 강대진
서울대 대학원 서양고전학 박사

논문:호메로스 『일리아스』의 전투 장면의 구조(학위논문)
『일리아스』에 나타난 네 영웅의 죽음
호메로스『일리아스』의 대결장면의 배치와 기능
저서:『잔혹한 책읽기』, 작은이야기, 2004
『신화와 영화』, 작은이야기, 2004

경력:국민대 겸임교수 (2001년 3월 - 2002년 9월)
열린 사회 아카데미 『일리아스』특강 (1999년 6월)
충남대, 목원대 그리스 신화 특강 (2003년 11월)
문예아카데미 공개특강 "고대 그리스 문화의 이해" (2004년 6월
조선대 그리스 신화 특강(2004년 11월)
일본 도쿄 대학 국제 학술 대회(International Symposium on Mediterranean World)에서 “The Vengeance of Odysseus and Spring Festival”이란 제목으로 논문 발표(2004년 4월)

웹사이트: http://www.kpaf.org

연락처

02-739-685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