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국토이용현황을 비교·분석
그간 북한 지역은 접근불가지역이란 특수성 때문에 현지조사가 불가하여 북한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국토이용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환경부에서는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90년대 말부터 10년 주기로 북한지역에 대한 토지피복지도를 작성하여 왔다.
▶ 토지피복지도(LCM, Land Cover Map) : 지구표면 지형지물의 형태를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동질의 특성을 지닌 구역을 폐곡선으로 지정한 후, 이를 Color Indexing하여 쉽게 구분이 가능토록 한 주제도(theme-map)
내년도 구축예정인 북한지역에 대한 토피피복지도 대분류(1:50,000) 2차 갱신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남·북한간 대표적인 지역을 인공위성영상과 항공사진을 이용해 비교·분석한 이 결과에는 분단이후 남북한의 변화모습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비교대상은 크게 도시지역과, 하천주변지역, 고산지대주변으로 남북한별 비교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피복특성이 유사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남·북한 별로 비교해보면 남·북한 대표적인 도시지역인 강남과 평양의 경우, 각각 도시 전체 면적의 50.5%와 34.3%가 시가화/건조지역으로 나타났으며, 강남지역의 농업지역은 1.1%로 거의 사라진 반면, 평양은 26.4%로 아직도 많은 경작지가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라산과 백두산의 경우는 고산지대인 관계로 고산초지의 면적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각 43.1%, 48.6%) 산림지역은 한라산이(48.4%)이 백두산(30.3%)보다 훨씬 많은데, 이는 30년간 추진해온 산림녹화의 영향때문으로 보인다.
주목할 사항으로 북한지역에는 남한지역에는 거의 없는 다락밭과 비탈밭의 피복형태가 많이 보여지는데 이는 북한이 심각한 식량난과 에너지난을 겪고 있는 증거이며, 이로 인한 자연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다락밭 : 북한이 식량증대를 위해 산의 나무를 벌채하여 산 비탈면에 만든 밭, 토양유실이 심하고 홍수시 산사태에 취약
▶ 비탈밭 : 인위적인 벌채를 하지 않고, 농가근처의 산비탈에 관개시설을 하고 경작할 수 있도록 만든 밭
환경부에서는 이번 연구사업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북한 전지역에 대한 10년 주기의 대분류(1:50,000) 토지피복지도를 작성하여 시계열적인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며, 특히 DMZ 지역에 대해 1:25,000 수준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시범구축하여 정부의 국정과제중의 하나인‘DMZ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기초 조사사업에 폭넓게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기획조정실정보화(담)
정은해 과장
02-2110-6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