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도 전국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6.1% 수질기준 초과
총 4,847개소 중 수질기준을 초과한 296개(6.1%)의 측정망 유형은 오염우려지역 154개소(1,461개소 중 10.5%), 일반지역 86개소(2,430개소 중 3.5%), 국가관측망 56개소(956개소 중 5.9%)로 나타났다.
※ 지하수 수질측정망의 유형: 오염우려지역측정망(지방환경청), 일반지역측정망(시·도), 국가관측망(국토부)
용도별 초과율은 공업용 7.3%, 생활용 6.0%, 농·어업용 4.4%이며, 음용과 비음용으로 구분하면 각각 6.9%와 5.8%로 나타났다.
기준 초과의 대부분은 일반오염물질(77%)로 인하며, 음용지하수에서 주로 대장균군·일반세균 등이 초과되어 음용중지·수질개선 등의 조치를 취하였다.
측정망 유형별로 초과현황은 다음과 같다.
오염우려지역의 경우, 공단지역 및 도시주거지역에서 TCE, PCE 등의 초과가 많아 타 지역에 비해 유기용제의 오염이 높은 곳으로 나타났고, 농업용수사용지역, 금속광산지역에서 대장균군, 질산성질소의 초과율이 높았다.
일반지역의 경우, 대부분 일반세균, 대장균군, 질산성질소 등 일반오염물질이 초과되고 있으며, 시·도별로 초과율은 울산의 경우 20.4%로 가장 높고, 충남 8.1%, 경기 7.8%, 경북 4.7% 순으로 높았다.
또한, 초과율이 높은 시·도는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의 초과 지점이 많은 것에 기인하고 있으며, 대전, 제주는 수질 기준을 초과한 지점이 없었다.
국가관측망의 경우 국토해양부에서 지하수 수위 및 수량조사 등을 위해 수계 유역별 대표지점에 설치·운영중으로 생활용수 수질기준을 적용할 때 초과율이 5.9%(956개소 중 56개소)로 나타났다.
한편, 주요 초과 오염물질인 미생물(41.8%)과 TCE·PCE(35.0%)는 주로 오수, 축산폐수 및 섬유·금속 세정제 등이 주오염원으로, 관정의 위생관리 부실이나 지표의 오염물질 및 오염된 천층 지하수가 유입된 것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반복적인 초과지점에 대해서는 정밀조사, 관정의 시설 개선 및 위생관리 등을 통하여 수질이 개선되도록 할 계획이다.
앞으로 환경부는 전용측정망 설치 확대를 통한 모니터링의 과학화, 지역단위 지하수 수질관리체계 구축, 지하수 오염예방 및 정화·복원기술 개발 등의 녹색산업육성 등 지하수 수질관리 선진화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상하수도정책관실 토양지하수과
정은해 과장
02-2110-6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