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도심운행 승용차, 공회전 심각

서울--(뉴스와이어)--환경부는 수도권 도심도로에서 “공회전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행시간의 1/4이 공회전시간으로 나타나 자동차 공회전이 심각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가 “자동차10년타기시민연합”에 의뢰하여 조사('10.5.13∼9.29)하였으며, 수도권 도심도로 24개구간(1구간 평균 30km)을 실제로 운행해 본 결과, 30km구간을 주행하는데 평균 1시간24분이 소요되었으며, 그 중 공회전 시간은 평균 22분으로서 주행시간의 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행 시간(1시간24분)중에 공회전을 평균 30회나 하였고, 1회당 평균 46초를 공회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승용차에 공회전 제한장치를 부착하고 운행해 본 결과 평균연비가 장치 부착 전·후 8.29 Km/l에서 9.50 Km/l로 약 14.6% 향상되었다.

또한, 운전자 1,9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응답자의 90%가 보조금 지급시 공회전제한장치를 부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공회전을 하는 이유로는 그냥 불편해서 31.1%, 수시로 시동을 끄면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27.4%, 중단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에24.4%, 연료절약 효과를 못 느끼기 때문에 17.1% 등으로 조사되었다.

공회전 방지를 위해서는 공회전 제한장치 부착 41%, 캠페인40.5%, 공회전 제한구역 확대 13.3%, 공회전 규제·단속 5.1% 순으로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환경부는 자동차의 공회전 방지 등 친환경운전문화 확산을 위해 금년 말까지 친환경운전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각종 인터넷 및 언론매체를 통하여 집중 홍보를 실시하는 한편, 친환경운전 안내장치(EMS, 공회전제한 장치 등)에 대한 보조금지원 등 인센티브 제공방안을 예산당국과 적극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기후대기정책관실 교통환경과
이규만 과장 / 김준기 서기관
02-2110-6810 / 686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