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8곳, 무능력 직원 있어”

뉴스 제공
사람인HR 코스피 143240
2010-11-15 08:42
서울--(뉴스와이어)--기업 10곳 중 8곳은 사내 분위기를 흐리는 무능력한 직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인사담당자 479명을 대상으로 ‘회사 내 무능력한 직원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81%가 ‘있다’라고 답했다.

전체 직원 중 무능력한 직원의 비율은 ‘10% 이하’(40.2%)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20%’(31.2%), ‘30%’(14.7%), ‘50%’(7%), ‘40%’(2.6%) 등의 순으로, 평균 22.3%로 집계되었다.

무능력한 직원의 유형으로는 ‘시간이 지나도 발전이 없는 유형’(66.8%,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자기계발을 하지 않는 유형’이 41.2%로 뒤를 이었고, 이외에도 ‘성과가 없는 유형’(40.7%), ‘일 마무리가 깔끔하지 않은 유형’(40.7%), ‘업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유형’(38.4%), ‘시간 안에 일을 해내지 못하는 유형’(28.1%), ‘상사에게 자주 혼나는 유형’(10.6%), ‘후배에게 무시 당하는 유형’(9.8%), ‘건강관리 못하는 유형’(9.3%) 등의 응답이 있었다.

무능력한 직원 때문에 피해를 입은 기업은 88.1%였으며, 피해로는 ‘동료들의 업무 사기 저하’가 66.4%(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업무 흐름 방해’(59.9%), ‘업무 성과 감소’(45.9%), ‘직원들간의 노골적 갈등’(45%), ‘능력대비 높은 연봉 지급’(29.8%) 등이 이어졌다.

또, 무능력한 직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환산한 금액은 평균 3,78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무능력 직원 때문에 피해를 입은 기업 중 82.6%는 이에 대한 대처방법을 가지고 있었다. 대처방법으로는 ‘승진 기회를 박탈한다’는 응답이 41.3%(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해고한다’(26.2%), ‘인성 교육을 실시한다’(23.8%), ‘시말서를 제출하게 한다’(22.6%), ‘연봉을 삭감한다’(18.3%) 등이 있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성과를 내지 못하는 무능력한 직원은 회사 차원에서도 손실이지만, 개인의 커리어 측면에서도 마이너스가 된다.”라며 “기업은 직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개인도 자신의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람인HR 개요
사람인HR은 '국민에게 사랑 받고, 신망 받는 착한 기업'이라는 비전 아래, 차별화된 다양한 취업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크루팅 전문 기업이다. 주력사업인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은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2년 연속 수상, 국가브랜드대상,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대상, 대한민국 윤리경영 대상, 일자리창출 대통령 표창 수상,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구인구직사이트분야 4년 연속 1위 등을 기록했다. 또한 헤드헌팅, 인재파견, 취업지원 사업 각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높은 브랜드 파워를 보이고 있다. 2012년 2월 업계 최초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며, 대한민국 리크루팅 허브로서 그 성장성과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aramin.co.kr

연락처

사람인 홍보팀
성혜란
02-2025-2648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