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폐형광등 재활용처리 지난해 대비 6.3% 향상

서울--(뉴스와이어)--한국조명재활용협회는 ‘10년 폐형광등재활용률이 ’09년도 대비 재활용량이 6.3% 향상됬다고 1월 7일 밝혔다.

한국조명재활용협회에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전체 전국지자체의 폐형광등 재활용량은 ‘09년 32,655천개에서 ’10년 35,139천개로 전년대비 6.3% 향상되었다.

주민들이 배출하는 지자체실적은 ‘09년도 27,942천개에서 ’10년도 29,679천로 약 7%의 수거율이 향상되었으며, 사업장(학교등 대형건물)에서 배출되는 실적은 ’09년도 4,713천개에서 ‘10년 5,460천개로 15.8%의 수거율이 향상되었다.

폐형광등 분리수거는 지난 2001년을 시작으로 현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지만, 대다수의 시민들과 사업자들이 폐형광등을 깨뜨려서 버리는 경우가 많으며, 2010년 발생량(1억2천2백만개)대비 수거율은 28%정도로 여전히 8천만개 이상의 폐형광등이 매년 무단폐기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한꺼번에 대량으로 형광등을 사용하고 배출하는 대형건물이나 사업장의 경우, 2005년이후 급속도록 배출량이 증가하였으나 이는 총 발생량의 70%이상을 차지하는 사업장형광등을 고려할시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 제12조2(폐기물배출자의 분리 보관 등) 및 동법시행령 제14조3(폐기물배출자의 범위)에 따르면 각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약 303평) 이상인 건물의 소유자 점유자 또는 관리자와 폐기물을 1일 평균 300kg 이상 배출하거나 일련의 공사 작업 등으로 인해 폐기물을 5톤 이상 배출하는 토지의 소유자 점유자 또는 관리자는 별도의 자체비용을 들여 분리배출 및 적정처리해야 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까지 부과하도록 되어있다.

폐형광등에는 유해 중금속인 수은이 개당 10-50mg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분리수거를 해서 안전하게 처리해야 함은 물론이며, 버릴 때 깨뜨리는 경우 수은이 공기 중에 분사되어 인체에 대단히 유해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recyclinglamp.org

연락처

(사)한국조명재활용협회
박일 대리
02-712-8190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