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호의원, “산불 방지 대책, 적극적인 마인드로 전환하라”

서울--(뉴스와이어)--올들어 발생한 산불은 407건(30ha 이상 대형산불 7건)에 피해면적이 2010.7ha로 여의도면적(804ha)의 2.4배에 달했고 특히 대형산불 피해는 1723.2ha로 85.7%나 차지하고 있음.

올해의 산불은 4월에 집중되어 낙산사 소실 등 전체 피해면적의 92.7%인 1492ha가 탔음. 또한 꺼졌던 불이 재발화해 진화에 더욱 어려움이 있었음. 강원도 양양을 비롯해, 전북 남원과 충북 영동의 산불이 재발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것은 가연성 물질인 목재와 나뭇잎 등이 썩지도 제거되지도 않은 채 쌓여 물을 흠뻑 뿌려 겉(표면)이 꺼졌더라고 잔불 정리가 되지 않아 일어나는 현상으로 분석됨.

방치된 목재의 제거와 가지치기, 적절한 솎아베기 등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재발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음.

□ 문제점 및 질의

<산림청장에게 질문하겠습니다>

1. 숲이 지나친 밀도로 우거지게 되면 산불은 땅위의 낙엽 등이 타는 화재인, 지표화(地表火)에서 나뭇가지를 타고 불이 옮겨가는 수관화(樹冠火)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그에 알맞은 대책으로 옮겨가야 함.
즉, 산불의 행태에 따라 대책과 장비가 달라져야 하는데 이번 산불진화에 쓰인 장비는 헬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지표화에 관련된 것이고 그것도 지극히 낙후된 인력의존형 장비가 태반이었음.
불은 날고 있는데 진화방식은 땅위를 기어가는 수준이라 생각하는데, 산림청과 5개의 지방관리산림청은 산불방지와 진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의문이며 이에 대한 산림청장의 답변을 바람.

2. 이번 강원도 양양의 산불이 났을 경우에도, 미리 빗물이나 계곡물로 저류탱크를 만들어 놓았더라면 초기에 산불의 진화가 가능했을 것이며 또한 이러한 저류시설로 인해 평상시에는 홍수방지와 가뭄방지의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을 것임.

이것은 새로운 장비도입에 드는 막대한 재원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방차량과 헬기 등 화재진화장비가 접근하기 어려운 산간지대에 적절한 방법이라 생각하는데, 산림청은 예산타령만 할 것이 아니라 소방방재청과 행자부 등 관련 부처와 협조해 이처럼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의향은 없는지 견해를 밝혀 달라.

<소방방재청장에게 질문하겠습니다>

3. 5개 지방산림관리청간에 자치행정구역을 넘나들면서 행정 협조를 얻을 수 있는 강력한 단일 지휘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산불이 발생했을 경우 현장에 접근해 있는 지방관리산림청으로 하여금 관계자치단체의 행정 지원을 총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올 4월, 산불과 그로인한 문화재 소실이 발생했을 때 소방방재청장은 뭘 했는지 답변해 달라.

[25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자료]

웹사이트: http://www.kbh21.or.kr

연락처

김병호의원실 02-784-503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