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연구회 공동연구발표회 개최 - 인제군을 통해본 해방 이후 북한사회
이러한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북한사연구반은 강원도 인제군의 사례를 토대로 몇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인제군의 전반적인 통치 질서를 검토하였다. 둘째, 실질적인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나는 당-정관계와 인민들의 참여를 검토하였다. 셋째, 정치교양사업의 구성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중앙권력의 연구에 집중되어 왔으며 일부 지방사례를 토대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번 공동연구는 기존 연구성과를 토대로 하면서 지방사회에서 전개된 구체적인 운영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인제군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당-정-사회단체간의 실질적인 관계는 물론 인민들의 삶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해방 이후 북한 사회의 모습을 보다 생생하게 규명함으로써 북한 연구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는 의의가 있다.
1. <해방이후 북한 인제군 사회의 통치 질서>
발표: 김재웅(고려대학교 박사과정)
/ 토론: 이주철(KBS남북교류협력기획단)
2. <1947~49년 인제군 開沓사업에 나타난 당·정의 역할과 인민노력동원>
발표: 한모니까(가톨릭대학교 강사)
/ 토론: 김광운(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3. <1948~49년 강원도 인제군 사례를 통해 본 북한 정치교양사업의 구성과 내용>
발표: 김태우(국가기록원 학예연구사)
/ 토론: 정영철(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선임연구원)
* 각론 소개
1. 김재웅, <해방이후 북한 인제군 사회의 통치 질서>
해방이후 38선을 경계로 분할된 인제군은 북한의 변방지역에 위치했다. 일간신문이 도달하기까지 10여 일을 소요할 만큼 교통여건이 열악한 곳이었지만, 인민위원회와 당 조직이 신속하게 설립되고 각종 사회단체도 조직적 기반을 갖추어 갔다. 이 과정에서 제 조직 간의 역할분담과 유기적 협조관계에 기초한 통치 질서의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인제군 사회에 내재한 다양한 갈등요인은 통치 질서의 형태에 역동성을 가미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전전 시기 인제군에 형성되고 있던 역동적 통치 질서의 생생한 상을 포착하는 과제가 이 논문의 주요 과제이다.
2. 한모니까, <1947~49년 인제군 開畓사업에 나타난 당·정의 역할과 인민노력동원>
해방 이후 인공 치하의 사회주의적 개혁을 경험한 인제군의 노인들은 그 경험을 일컬어, “그때는 그게 당연했어.”라고 한결같이 말했다. 그들이 인공치하의 각종 노무동원이나 위안사업 등을 “당연했다”고 떠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물음을 시작으로, 북한의 지방사회에서 맺어진 다양한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밝히기 위해 해방 이후 주요 농업정책 중 하나인 개답사업이 인제군에서 시행되는 과정을 소재로 할 것이다. 개답사업에 나타난 당-정 관계와 인민들의 동원문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북한 정권의 하부기반조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3. 김태우<1948~49년 강원도 인제군 사례를 통해 본 북한 정치교양사업의 구성과 내용>
해방 후 북한에서는 역사적으로 그 전례를 발견하기 힘들 정도로 사회 전반에 걸친 대대적 정치교양사업이 실시되었다. 이 시기 정치교양사업의 대상은 코흘리개 어린아이에서부터 70~80대 노인까지, 북로당 농촌세포 당원에서부터 최고위급 간부까지 예외 없이 적용되었고, 강원도 인제군의 벽촌 주민들도 일명 예외 없이 정치교양사업의 주요 대상으로 편재되었다.
본고는 1948~49년 강원도 인제군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북한 농촌사회에서 행해진 정치교양사업의 내적 구성과 서술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시기 인제군에서는 거의 매일 다양한 형식의 독보회와 학습회, 강연회와 강습회가 이어졌다. 본고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인제군 사례를 통해 해방 후 북한에서 실시된 정치교양사업의 내적 구성을 밝혀내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정치교양사업을 통해 전달된 주요 교양내용을 분석해 내는 것이다. 정치교양사업의 내용에 대한 분석은 국제주의와 민족주의의 갈등관계 속에서 북한이 취해야만 했던 묘한 정치·사상적 입장을 보여줄 것이다.
일시 : 2005년 6월 4일 (토요일) 오후 2시
장소 : 대우학술재단 제 1세미나실 (8층)
사회: 이주환(동국대학교 강사)
웹사이트: http://www.webkoreanhistory.org
-
2012년 11월 29일 1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