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서울기준) 공기질, 지속적으로 개선

- 미세먼지(PM10) '10년 47㎍/㎥로 ‘95년 측정 이래로 최저 수준

- 연간 환경기준(50㎍/㎥이하) 만족일수 ‘09년 211일→’10년 218일

- 이산화질소(N02) 차량 등의 증가에도 최근 3년간 (‘08년 38ppb→’09년 35ppb→'10년 34ppb) 감소

서울--(뉴스와이어)--환경부는 '05년도 수도권 대기환경개선대책을 본격 추진한 이후 수도권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10년 서울의 미세먼지(PM10) 농도가 연평균 47㎍/㎥(황사 포함시 49㎍/㎥)로서 수도권 대책 시행전인 ’03년 69㎍/㎥에 비해 32% 감소하였으며, ‘95년 대기오염도 측정이래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하였다. 인천, 경기지역의 경우 연간 환경기준은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나 최근 4년간 점차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인천 ’07년 61㎍/㎥→‘10년 53㎍/㎥, 경기도 ’07년 63㎍/㎥→'10년 56㎍/㎥

한편, 이산화질소(NO2) 농도는 ‘10년 34ppb로서 ’03년 38ppb에서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연간 대기환경기준(30ppb) 만족일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기환경기준(NO2 30ppb) 만족일수(서울) : ‘08년 125일→ ’09년 152일 → '10년 211일

인천, 경기지역의 경우 ‘09년에 이어 ’10년에도 30ppb인 환경기준을 달성했다.

환경부는 이처럼 수도권 대기질이 개선되고 있는 것은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정책기조와 연계하여 대기오염물질과 기후온난화 물질을 동시에 저감하는 저공해 자동차 보급, 운행경유차 저공해화, 저녹스 버너 보급 및 사업장 총량관리제 시행 등을 꾸준히 추진해 온 결과로 평가했다.

환경부는 수도권대기환경청을 비롯한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와 함께 지금까지의 대기질 개선성과를 토대로 저탄소 녹색기술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향후 수도권 대기질이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미세먼지-질소산화물 동시 저감 장치 부착 등 경유차의 저공해화 사업을 지속 추진하는 한편, 건설기계로까지 저감장치 부착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전기차 등 저공해 자동차 보급확대, 도로 재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이동측정시스템 구축 및 청소차량 보급 등을 추진하며, 또한, 중소산업단지내 청정연료 전환 및 저NOx 버너 보급을 확대하고, 저공해 조치 미이행차량의 운행을 제한하는 공해차량 제한지역 운영, 환경친화적 교통수요 관리 등을 통해 수도권 대기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기후대기정책관실
대기관리과 배철호 서기관
02-2110- 678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