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지표면 현황정보, 100배 세밀해진다
▶ 토지피복지도(Land Cover Map) : 논, 산림, 시설물 등 지표면 상태를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동질의 특성을 지닌 구역을 폐곡선으로 지정한 후, 이를 Color Indexing하여 쉽게 구분이 가능토록 한 주제도
이 지도는 우리나라의 다목적 위성인 아리랑2호의 영상을 최초로 이용하여 단독주거시설, 공업시설, 논, 밭, 활엽수림, 침엽수림, 하천 등 지표면의 현황을 41항목으로 세밀하게 구분하였으며,
※ 외국의 위성영상을 대체함으로써 40억원 절감(남한 기준)
이러한 항목 구분은 녹지율, 우수 유출율, 비점오염물질 배출율, 온실가스 배출율 등 특성파악과 행정구역별 집계가 가능하도록 해주었다.
이에 따라 토지피복지도는 비점오염원 관리, 기후변화 예측모델링, 국토변화 모니터링, 산사태 및 홍수발생 예측 등 다양한 정책수립과 집행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비오톱지도, 생태·자연도, 국토환경성 평가지도 등 다양한 환경주제도에 대하여 기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5년 단위로 1,377억원의 비용절감효과가 있다.
토지피복지도는 '98년부터 1:50,000 대분류 지도, ‘00년부터 1:25,000 중분류 지도를 제작하였으며, ’10년부터 1:5,000 세분류 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정확도가 100배 향상되었다.
환경부에서는 향후 남한 전 지역에 대한 세분류(1:5000) 토지피복지도 구축사업을 '17년까지 단계적으로 완성한 후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시행할 계획이며, 또한, 그간 공공기관과 전문가 위주의 활용에 치우친 토지피복지도를 일반 국민도 쉽게 이해·활용할 수 있고, 초·중·고등학교에서 교육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등 토지피복지도의 정확도와 활용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기획조정실
김신엽 사무관
02-2110-6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