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o+20 정상회의 준비를 위한 아·태지역 준비회의 폐막
이번 회의에는 아·태지역 37개국, ESCAP, IISD, ADB, UNEP 등 UN 관련 16개 국제기구 및 40여 개 NGO에서 300여명이 참가하였다. 유영숙 환경부장관, 양수길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태국 마히돌 공주, 사모아의 투말리 환경부 장관과 카자흐스탄 차관, 샤주캉 UNDESA 사무차장 등도 참석하였으며, 윤종수 환경부차관이 전체회의와 문안협상회의에서 의장직을 수행하였다.
이번 회의 주 의제는 2012년에 개최될 “Rio+20 정상회의” 의제인 “지속가능발전 및 빈곤퇴치 관점에서의 녹색경제”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제도적 체제”로서, 참가국들은 전체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Rio+20 정상회의”에 제출할 아·태지역 ESCAP 62개 회원국의 의견을 담은 결과문서에 자국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하여 치열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특히, 태국은 마히돌 공주가 회의장에 직접 나와 빈곤으로 인한 질병퇴치를 위해 자국이 녹색경제와 연계하는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음을 설명하여 Rio+20 정상회의 의제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보였다.
이번 회의의 가장 큰 성과는 우리나라가 “저탄소 녹색성장” 선도국가로서 회의결과문서에 지속가능발전 달성을 위한 녹색경제의 필요성과 유용성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담았다는 점이다.
녹색 보호주의로 악용될 것이라는 개도국의 우려로 인해 아직까지 녹색경제와 관련하여 공통된 의견을 만들지 못하고 있었는바, 회원국 수 및 경제규모·인구에서 가장 크고 선진국과 개도국이 다양하게 포함된 아·태지역에서 녹색경제의 필요성에 대해 합의했다는 것은 향후 Rio+20의 성공에 큰 기여가 될 것이라는 평가이다.
※ Rio+20 결과와 관련한 협상은 올해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으로 UN의 공식 준비과정으로 5개 대륙별 준비회의를 개최하고 있는 바,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11.9), 서아시아(아랍)(’11.10) 지역회의에서는 녹색경제문안 미채택
- 이후 개최될 아프리카(‘11.10월말), 유럽(’11.12) 지역회의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이는 의장인 윤종수 환경부차관을 비롯한 우리 대표단이 인도, 중국, 태국, 카자흐스탄 등 다수의 국가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입장을 조율한 데 힘입었다.
본 회의에서 우리 대표단은 녹색성장전략을 통한 녹색경제로의 이행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최적방안의 도출 등에 대한 논의를 주도함으로써 2012년 “Rio+20 정상회의”에서 우리나라의 녹색성장 의제가 전세계에 주류화(Mainstreaming)하는 데 토대를 마련하였다.
우리나라는 회의기간 중 UN지속가능발전센터(United Nations Offi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OSD) 출범식을 개최, 지속가능발전분야에서의 우리나라 위상을 제고하였고, 부대행사(Side Event)를 통해 4대강 살리기 사업 및 그린카드 등 우리나라의 저탄소녹색성장정책을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환경부는 이번회의 참석차 방한한 아주그룹을 대상으로 COP18(제1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유치활동을 전개, 올해 말 남아공 더반에서 개최될 2012년 COP18 유치국 결정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국제협력관실 지구환경담당관실
정래광 사무관
02-2110-6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