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급률↑ 누수율↓ 상수도 이용환경 개선됐다

- 환경부, 2010년 상수도 통계 발표

서울--(뉴스와이어)--환경부는 ‘2010 상수도 통계’ 조사 결과 상수도 보급률은 증가하고 누수율은 감소하는 등 상수도 이용환경이 소폭 개선됐다고 7일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10년 전국 163개 수도사업자*가 공급한 상수도(지방상수도+광역상수도)의 누수율이 10.8%로 ’09년(11.4%)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수율은 83.2%로 ‘09년(82.6%)보다 향상되었으며 전체 상수도 보급률(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로 공급받는 인구를 포함)도 97.7%로 ’09년 97.4% 대비 소폭 개선됐다.

특히 누수율과 유수율 모두 지속 개선세로 누수율은 10년 전인 '00년 14.8% 대비 4%포인트, 유수율은 74.7% 대비 8.5% 개선됐다.

* 국내 수도사업자 현황 : 전국 162개 지방상수도사업자(특·광역시 7, 특별자치도 1, 시 73, 군81) + 1개 광역상수도사업자(한국수자원공사)

‘10년 공급된 수돗물 총량은 5,910백만㎥이었으며 정수장 시설용량(지방상수도+광역상수도)은 30,936천㎥/일로 ’09년도의 31,416천㎥/일 보다 다소 감소하였고, 정수장 이용률은 55.2%로 1.9% 증가하였다.

지방상수도 정수장 시설용량은 21,839천㎥/일로 '09년보다 481천㎥/일 감소하였다. 이는 정수장 이용효율 증가를 위한 정수장의 통·폐합과 더불어 광역상수도에 의해 공급받는 사업자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전국 평균 수도요금은 ㎥당 610.2원으로 생산원가 777.2원의 78.5% 수준으로, 아직까지 수도요금의 인상이 원가상승요인만큼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수도요금은 2009년 ㎥당 609.9원에서 0.05% 상승되었고, 생산원가(총괄원가)도 761.6원에서 777.2원으로 2.0%인상되었으나, 요금 현실화율은 80.1%에서 78.5%로 감소되어 아직도 적정 수준보다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물사용량 및 수요를 가늠할 수 있는 1인 1일당 급수량은 333L/인·일로 ‘09년(332L)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004년(353L) 이후 절수기 설치, 중수도 재활용 등 물수요 관리 정책의 효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부는 “앞으로 관망진단이나 누수탐사 등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할 경우 누수율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상수도 이용환경의 개선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10 상수도통계’원문 환경부 홈페이지(www.me.go.kr) 참조(환경부/간행물원본/상수도통계).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상하수도정책관실 수도정책과
조갑현 사무관
02-2110-687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