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2011년도 방송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 이동전화 통화품질 세계 최고수준

서울--(뉴스와이어)--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계철)는 ‘2011년 방송통신서비스 품질 평가결과’를 발표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사업자들의 품질 개선을 유도하여 이용자에게 보다 나은 양질의 방송통신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99년부터 방송통신서비스 품질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금번 품질평가는 총 8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11.10월부터 ‘12.2월까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수행하였다. 품질평가 대상은 ▲ 이동전화, ▲ 초고속인터넷, ▲ 무선인터넷(3G, WiFi, WiBro), ▲ 유료 디지털방송(IPTV, DCATV, 위성방송)으로 하였다.

이번에 발표하는 품질평가 결과는 이용자보호 관련 중요 정보가 게시되는 방송통신위원회 주관 웹사이트인 ‘와이즈유저’(www. wiseuser.go.kr)에 게시한다. 아울러 상기 웹사이트를 개선하여 이용자가 자신이 주로 이용하는 지역의 방송통신서비스 품질수준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각 서비스별 품질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동전화(음성통화)

이동전화 서비스는 KT, LGU+, SKT의 전년도 평가결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지역을 포함하여 지하철·터미널처럼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 등 618개 지역을 평가대상 지역으로 예고하고 평가 예고지역 중에서 최종 163개 지역에 대한 통화성공률을 측정하였다.

※ LGU+는 CDMA 시스템(2G)으로 음성통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어 평가대상에 포함

평가 결과는 일반 이용자들이 각사의 품질 수준을 이해하기 쉽도록 등급을 정하여 발표하였다. 등급기준은 국제기구에서 권고한 품질기준, 국내외 사례 등을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이동통신3사의 음성통화 서비스의 통화성공률은 98.5%로 세계 최고 수준(S등급)이며, 전년(98.3%) 대비 0.2%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정부가 사업자간 품질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99년부터 품질평가를 실시해 온 이래 사업자들이 품질 개선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인 결과 우리나라의 이동전화 통화품질이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KT, LGU+, SKT의 이동전화 통화성공률은 각각의 평균이 97.5% 이상으로 모두 ‘S(매우우수)등급’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농어촌지역 중 4곳(KT 2, LGU+ 2)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이 미흡지역들로 인해 KT(98.6%) 및 LGU+(97.8%)의 통화성공률이 SKT(99.0%)에 비해 약간 낮게 나타나고 있어 양사의 일부 농어촌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품질개선 노력이 필요)

방통위는 이통3사에 품질미흡 지역에 대한 개선을 권고하였고 해당 사업자들이 상반기 이내에 개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초고속인터넷은 100Mbps급 서비스 가입자 수가 26만명 이상인 사업자(KT, LGU+, SKB, CJ헬로비전, C&M, 티브로드)의 100Mbps급 인터넷의 전송속도와 웹서핑 시간을 측정하였다.

사업자 전체 자사망구간 평균 속도(다운로드 93.7Mbps, 업로드 83.1Mbps)는 전년 대비 각각 3.7%, 3.9% 개선되었다.

사업자가 이용자와 약속한 자사망구간 다운로드 최저보장속도(3사 50Mbps, MSO 30Mbps)를 지키지 못한 품질미흡지역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용량이 많은 상위 20개 웹사이트의 웹서핑 시간을 측정한 결과 전체평균이 1.57초로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국제 표준(ITU-T G.1010)에서 우수한 수준으로 보는 2초 이내이고, 일부 웹사이트도 보통 수준은 충족하고 있다.

※ ITU-T G.1010에서 웹서핑 시간은 2초/page이내를 우수(preferred)하고, 4초/page이내를 보통(Acceptable)으로 보고 있음

포털 사업자별 대용량 메일의 송수신 속도는 평균 다운로드 64.1Mbps, 업로드 52.0Mbps로 전년도와 대비하여 각각 47.4%, 69.9% 대폭 개선되었다.

3. 무선인터넷(3G, WiFi, WiBro) 서비스

3-1. 3G 데이터

3G 데이터 서비스는 KT, LGU+, SKT의 자사망 구간에 대한 전송속도와 전구간의 웹서핑 시간을 측정하였다.

※ LGU+는 3G가 아니나 CDMA 1X EV-DO. rA를 통해 무선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평가대상에 포함

3G 데이터 서비스는 무선접속규격에 따라 속도 차이가 난다.

※ 평가에는 각기 다른 무선접속규격(HSUPA, Ev-Do. rA)이 적용된 다양한 단말기로 측정되었으며, 무선접속규격에 따라 단말기간의 차이가 발생

※ 무선접속규격별 이론적속도 : HSUPA(DL 14.4Mbps, UL 5.7Mbps),

Ev-Do. rA(DL 3.2Mbps, UL 1.8Mbps)

이동통신 3사의 자사망구간 데이터 전송속도는 다운로드 1.89Mbps, 업로드 1.0Mbps로 전년에 비해 각각 8.6%, 53.8% 개선되었다.

※ 무선인터넷 속도는 ①국내 표준 512Kbps, ②Wimax Forum 500Kbps 이상을 권고

전구간의 웹서핑 시간은 전년에 비해 많이 개선(9.61초→4.73초) 되었으나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포털 사업자의 대표서비스(블로그, 미니홈피, 까페)에 대한 웹페이지 다운로드 속도는 0.17Mbps∼0.20Mbps로 별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일부 지역에서 트래픽 증가 등으로 인하여 3G망에서의 속도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타망(WiBro, WiFi, LTE)으로의 이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3-2. WiFi

WiFi 서비스는 KT, LGU+, SKT의 자사망 구간에 대한 전송속도와 전구간의 웹서핑 시간을 측정하였다.

WiFi 서비스는 사업자별로 서비스 제공 지역이 크게 차이가 나며 동일한 WiFi 서비스지역 내에서 이용자 수가 많아질수록 속도가 낮아진다.

※ 전국 AP 설치 수(’11.2월말 현재) : KT 188,654개, SKT 94,100개, LGU+ 78,500개

서비스 제공3사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1.30Mbps, 업로드 속도는 9.36Mbps로 전년 대비 각각 17.8%, 30.0%가 개선되었으며 3G망에서의 속도보다 6배 이상 높았다.

웹서핑 시간은 전년에 비해 많이 개선(4.85초→3.13초)되었으며, 국제 기준에서 우수한 수준으로 보는 2초에는 다소 부족하였다.

포털 사업자의 대표서비스(블로그, 미니홈피, 까페)에 대한 웹페이지 다운로드 속도는 0.30Mbps∼0.38Mbps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년에 비해 AP 설치수가 141.3%(’11.3월 149,717개 →’12.2월 361,254개) 증가하였으나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WiF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사업자들의 지속적인 서비스 지역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3-3. 휴대인터넷(WiBro)

WiBro 서비스는 142개 지역에서 SKT, KT의 접속성공률과 전송속도를 측정하였다.

사업자별 WiBro 서비스 제공 지역이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서비스지역 내에서 이용자 수가 많아질수록 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전체 평균 접속성공률은 98.2%로 우수하였으며, 업로드 속도는 2.78Mbps로 전년(1.92Mbps)에 비해 44.8%가 개선된 반면, 다운로드 속도는 이용자 증가 등으로 전년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3G망에서의 속도보다 3배 이상 높았다.

4. 유료 디지털방송(IPTV, DCATV, 위성) 서비스

KT, LGU+, SKB가 제공하는 IPTV서비스, 4대 MSO가 제공하는 DCATV서비스, 스카이라이프가 제공하는 위성방송에 대하여 이용자의 영상체감만족도와 채널전환시간 등 기능을 중심으로 품질평가를 시행하였다.

※ 영상체감만족도 및 화면왜곡 횟수는 가입자 규모에 따라 42명~259명의 이용자 평가단을 모집하여 평가, 채널전환시간은 4개 장소에서 180회 반복 측정

유료 디지털방송사의 전체 평균 영상체감 만족도는 전년에 비해 대폭 개선(4.1점→4.7점) 되었으며, 사업자 모두 국제기준(5점만점의 4.0이상 양호)을 충족하였다.

※ ITU-T BT:500에서 영상체감만족도는 5점 만점에서 4점 이상을 좋음으로 권고

화면 왜곡 현상은 1개 컨텐츠 당 평균 0.6회로 나타났으나, 매체별로 약간의 편차(0.2~0.9)를 보였으며, 채널전환 시간의 경우 대부분의 사업자들이 국제기준(2초이내)을 충족하며, 그 외 일부사업자도 국제기준을 약간 초과하는 수준이다.

유료 VOD 시작시간은 평균 12.9초이나, 광고를 하지 않는 DCATV에 비해 광고시간이 많은 IPTV는 시작시간이 늦게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2011년 방송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품질 수준이 높은 분야는 사업자 자율평가로 전환하는 한편 신규 및 개선이 필요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관련 협회, 연구기관, 소비자단체 및 방송통신사업자 등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12년도 품질평가 계획을 수립·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최근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는 LTE서비스의 커버리지 확대와 음성통화 품질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품질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방송통신위원회 개요
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며, 방송과 통신의 균형발전과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통령 직속 합의제 행정기구로 출범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된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방송의 독립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고, 방송과 통신의 균형 발전 및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등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cc.go.kr

연락처

방송통신위원회 이용자보호과
김맹호 사무관
750-2671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