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건강관리로 노인 1인당 진료비 연간 22만원 절감

서울--(뉴스와이어)--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한국건강증진재단(이사장 문창진)은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은 대상자의 건강증진 효과 및 이로 인한 진료비 절감효과와 재정효과에 관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건강증진 효과 측정’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11년 보건복지부 학술연구 용역사업으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연구책임자 김진현 교수)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07-’10년(4년) 전국 253개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등록되어 서비스를 제공 받은 19세 이상 성인이었다.
※ (분석대상) 건강증진효과 : 19세 이상 749,887명
진료비분석 : 19세 이상 1,364,738명, 65세 이상 952,109명

분석결과, 방문건강관리사업은 19세 이상 1인당 연간 16만원(총 2,199억원)의 진료비 절감효과와 순편익 119,215원, 그리고 비용-편익비는 3.8배로 추정되었다. 또한 지속적인 방문건강관리서비스의 제공으로 대상자의 건강생활습관과 자기관리능력의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지부는 “건강증진 및 진료비 절감을 위해서는 사전예방적 건강관리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진료비 절감효과

’07년부터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은 경우, 서비스 수혜를 중단한 경우에 비하여 노인 1인당 연간 22만원, 성인 1인당 연간 16만원의 진료비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인 1인당 연간 22만원(성인 16만원)의 진료비가 절감된 것 중 입원비 절감효과는 33만원(성인 30만원)으로 추정되어 외래 및 투약비는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연구를 수행한 김진현 교수팀은 “방문건강관리서비스로 건강상태가 호전되어 입원보다 외래진료가 증가하여 진료비가 절감된 걸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10년 방문건강관리사업의 19세 이상 1인당 순편익은 119,215원(총 1,627억원), 노인 1인당 순편익은 182,016원(총 1,733억원)으로 추정되어, 비용-편익비는 19세 이상 3.8배, 노인의 경우 5.3배로 산출되었다.

자가건강관리 및 질환관리능력 개선효과

방문건강관리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은 경우, 일반 성인*에 비하여 음주율 하락, 운동실천 증가 등 생활습관이 건강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07∼2009년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 특성상 소득 하위 25%의 자료를 사용하였음

’07년∼’09년 월간음주율 및 고위험음주율은 각각 2.4%p(17.4%→15.0%), 2.2%p(5.4%→3.2%) 하락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일반 성인에 비하여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규칙적 운동실천율은 10.6%p(18.3%→28.9%)로, 주관적 건강감 양호율은 7.7%p(‘07. 12.7%→’09. 20.4%)로 향상되었다.

방문건강관리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는 경우 만성질환(고혈압·당뇨)이 효과적으로 관리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고혈압 및 당뇨 관리는 해당 질병을 진단 받은 사람 중, 지속적 투약 및 관리 등을 통해 혈압 및 혈당이 적정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는 비율인 조절률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07년∼’09년 서비스 대상자들의 만성질환 조절률은 고혈압 26.3%p 증가(50.0%→76.3%), 당뇨 8.1%p 증가(66.4%→74.5%)하였다.
* 동 데이터는 국건영 데이터와 조사 대상 연령, 정의 등으로 직접 비교는 불가능함

고혈압과 당뇨 조절율은 서비스 제공 처음 1년 후 증가율은 각각 17.3%p, 6.4%p로 다음 1년 증가율(고혈압 9.0%p, 당뇨 1.7%p) 보다 높아, 서비스 제공 초기에 질환관리 개선효과가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보건복지부 개요
보건복지부는 보건 식품 의학 정책, 약학정책, 사회복지, 공적부조, 의료보험, 국민연금, 가정복지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정부 부처이다. 기획조정실, 보건의료정책실, 사회복지정책실, 인구정책실 등 4개실이 있다. 산하기관으로 국립의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정신병원, 국립소록도병원, 국립재활원, 국립결핵병원, 망향의 동산 관리소, 국립검역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hw.go.kr

연락처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
02-2023-753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