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BES 사무국 유치여부, 금주 파나마에서 결정 예상

서울--(뉴스와이어)--정부와 서울시, 민간이 합심해 추진해 온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사무국의 유치 성공여부가 금주 파나마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환경부 윤종수 차관을 수석대표로 한 대표단은 16일~21일 중남미 파나마에서 IPBES 설립, 작업계획, 조직구조, 사무국 소재지 결정 등을 주요의제로 개최되는 IPBES 총회 제2차 회의에 참석한다.

한국대표단은 윤종수 환경부차관을 단장으로 관계부처, 서울시, 민간으로 구성됐다.

IPBES 사무국 민간유치추진단(단장 : 김귀곤 서울대 명예교수)에서도 참석해 민간차원의 지지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 IPBES(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에 관한 과학-정책기반) :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분야의 과학연구 결과를 종합·평가해 정책 결정자들에게 전달하고, 정책이행을 돕기 위한 지원 및 능력배양 업무를 수행하게 될 국제기구. 2010년 부산에서 개최된 제3차 정부간 회의에서 설립에 국제적으로 합의

IPBES는 생물다양성분야에서 기후변화정부간패널(IPCC)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될 국제기구로서, 현재 프랑스(파리), 독일(본), 케냐(나이로비), 인도(도시 미정), 한국(서울) 등 5개국이 사무국 유치를 신청한 상태다.

정부는 2011년 12월 IPBES 사무국 서울 유치방침을 확정한 이후 그간 재외공관, 국제회의, 해외순방, 주한공관 등을 활용해 유치활동을 벌여왔다.

사무국 소재지는 이번 회의에서 참가국들의 투표로 결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대표단은 파나마회의가 유치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고비가 될 것으로 보고 환경부차관 주최 만찬설명회, 홍보데스크 운영 등 다양한 유치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공식 프리젠테이션에서는 한국정부와 국민들의 생물다양성 보전의지 및 IPBES에 대한 정부의 강한 지원의지를 부각시키며 유치가능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사무국이 2012년 설립되면, 향후 생물다양성분야 국제협상과 정책수립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IPBES가 서울에 유치될 경우, 최초로 아태지역에 설치되는 환경관련 UN 지원 국제기구가 되며 한국 및 서울의 브랜드 가치 향상, 국내 BT 산업 육성, 과학기술 R&D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컨벤션, 호텔, 관광 등 관련 산업의 발전과 고용창출에 긍정적 효과를 야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국제협력관
정은해 과장
02-2110-655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