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 ‘중고령자 고용불안의 탈출구, 전직지원서비스’

서울--(뉴스와이어)--중고령자는 한 번 퇴직하면 재취업이 어려워 취약계층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퇴직 후 재취업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져 큰 질병이나 장애가 없으나 집에서 쉬는 40~50대 중고령 인력이 2004년 36.8만 명에서 2011년 57.1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이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직하는 중고령자가 가급적 실업을 겪지 않고 새로운 일자리 시장에 쉽게 들어와 소득보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효과적인 전직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은 공공 전직지원서비스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공공 전직지원서비스 기관을 통한 취업자 비율이 전체 취업자의 1%에 불과할 정도로 활용도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는 공공 전직지원서비스 기관의 취업상담인원이 부족하고 서비스 마인드도 미흡해 상담서비스의 만족도가 낮은 데 기인한다. 민간 전직지원서비스 업체는 아직 영세하고 전문성이 부족하여 기업과 수요자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현재 국가에서 위탁받아 운영되는 민간 전직지원서비스 업체의 연간 서비스 인원은 1,652명으로 업체당 236명에 불과하다. 소수 대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전직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사후 대응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편, 전직의 주인공인 중고령자들은 미래에 대해 고민하고 불안해 하지만 과거의 직책과 보수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해 전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고령자가 전직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직에 대한 인식 전환과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이직(離職)자들이 평균 4.1회의 전직을 하는 상황에서 전직은 더 이상 실패나 인생의 패배를 의미하지 않는다. 전직은 인생 100세 시대에 있어서 ‘일상화된 일’이라는 인식과 과거의 직급이나 처우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한 눈높이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전직 시의 가능연봉과 창업 시의 기대수익 등을 고려한 자신의 몸값을 평소에 점검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준비를 게을리해서도 안 된다. 둘째, 기업은 상시적으로 전직지원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도쿄가스와 캐논의 사례를 참조하여 직원이 45세 이상이 되면 퇴직 이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생애설계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직원이 5,000명 이상인 기업은 자체적으로 ‘전직지원센터’를 운영하여 상시적으로 전직을 지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수요자 중심의 전직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수요자가 공공 전직지원서비스 기관을 자발적으로 찾게 하기 위해서는 취업상담 인원을 선진국 수준까지 끌어올려야 하며, ‘개인별 고용지원 주치의’를 두어 찾아가는 서비스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영국은 2004년부터 50세 이상의 중고령자에게 개인 상담원을 지정해 이력서 작성부터 전직 훈련 프로그램까지 맞춤형 전직지원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매월 약 17.8만 명의 비자발적 이직자가 발생하는데, 100명당 1명의 고용지원 주치의를 배치할 경우 1,800명의 일자리 창출효과도 기대된다.[삼성경제연구소 태원유 수석연구원]

*위 자료는 삼성경제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일부 입니다. 언론보도 참고자료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seri.org

연락처

삼성경제연구소
태원유 수석연구원
3780-8030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