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복지행정지원관 신설 등 조직 재정비

- 복지행정지원관 신설을 통해 복지사업의 통합·연계성 강화

서울--(뉴스와이어)--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는 복지전달체계의 효율화를 담당할 복지행정지원관을 신설하고 의료분쟁조정 담당인력을 보강하는 등 조직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정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5.1일자로 조직을 재정비했다.

<조직재정비 주요내용>

- 복지전달체계를 총괄하는 복지행정지원관을 신설하고 복지행정지원관 산하에 지역복지과, 급여기준과, 복지정보과, 복지급여권리과를 편재하는 등 복지사업의 통합·연계성 강화에 조직역량 집중

- 의료분쟁조정, 건강보험 사후관리 및 질병관리본부 인체자원은행 지원 등 주요 정책현안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실무인력 보강(+27명)

- 기타 노후소득보장 업무 시너지 효과를 위한 ‘연금정책관’ 소관 변경(사회복지정책실 → 저출산고령사회정책실) 및 저출산분야 정책수단 강화를 위한 ‘모자보건’ 업무 이관(건강정책국 → 저출산고령사회정책실) 등 조직 재정비

<소속기관 조직재정비>

- (질병관리본부) 유사질환 연구업무 통합 등 조직운영 효율화

(통합) 장내세균과+간염폴리오바이러스과 → 수인성질환과
(백신연구과 신설) 각 과에 분산된 백신연구업무 통합수행

- (국립재활원) 장애인 정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 총정원범위내 조직 재정비 * 의료적 모델(재활치료) → 사회적 모델(자립, 사회·가정복귀)

* 3과, 1추진단, 1부(14과, 1센터), 1연구소(3과) ⇒ 3과, 1부(15과), 1센터, 1연구소(3과)

<기타 부서명칭 변경내용>

- 구강·가족건강과→구강생활건강과, 저출산정책과→출산정책과(임신·출산·영유아 등 모자보건 업무 이관)

- 장애인연금팀→장애인서비스팀(장애인 활동지원 TF와 장애인연금팀 기능 통합)

- 보건산업기술과→보건의료기술개발과, 생명윤리안전과→생명윤리정책과, 생명과학진흥과→보건산업진흥과(보건산업정책국 내 산재된 첨단보건의료업무 통합·기능 재편)

보건복지부 개요
보건복지부는 보건 식품 의학 정책, 약학정책, 사회복지, 공적부조, 의료보험, 국민연금, 가정복지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정부 부처이다. 기획조정실, 보건의료정책실, 사회복지정책실, 인구정책실 등 4개실이 있다. 산하기관으로 국립의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정신병원, 국립소록도병원, 국립재활원, 국립결핵병원, 망향의 동산 관리소, 국립검역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hw.go.kr

연락처

보건복지부
행정관리담당관
박종하 사무관
02-2023-713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