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세계 천식의 날’ 기념해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 개최

서울--(뉴스와이어)--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는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 등 알레르기질환은 유병률이 높을 뿐 아니라 삶의 질 저하 및 의료비용 증가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어, 예방관리수칙을 참고하여 동 질환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알레르기질환 의사진단 유병률, 결석률, 질병부담 및 의료비용은 다음과 같다.

1세 이상 의사진단 유병률은 천식 3.7%(2010), 아토피피부염 6.1%(2010), 알레르기비염 11.9%(2009)였으며(국민건강영양조사), 청소년(13-18세) 의사진단 유병률은 천식 9.2%, 아토피피부염 23.1%, 알레르기 비염 9.3%, 이로 인한 결석률은 천식 24.9%, 아토피피부염 7.2%, 알레르기 비염 9.3%로 나타났다.(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2011)

또한 질병부담 연구 결과, 한국인의 만성질환 질병부담 순위 5위, 소아 청소년기의 질병부담 순위 1위를 차지하였다. 특히 중증 천식의 경우 환자 수는 5~10%에 불과하지만 잦은 병원방문과 입원 등으로 연간 천식의료비용 지출은 경증 천식에 비해 4배(1인당655만원, 천식환자 전체 의료비용의 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중증 환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전병율)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국민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관련 전문 학·협회, 전국 시·도 및 보건소와 공동으로 예방관리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전문 학·협회*와 공동으로 알레르기질환 예방관리수칙과 표준화된 교육·홍보 콘텐츠를 개발하여 홈페이지(http://atopy.cdc.go.kr)와 TV,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통해 알리고 있다.

* 참여 전문 학·협회: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대한피부과학회,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보건소에서는 이를 근거로 주민에게 예방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일부에서는 지역 내 학교와 보육기관을 ‘아토피·천식 안심학교’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확대(2012년 전국 461개)되고 있다.

또한 질병관리본부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알레르기질환에 대한 전문교육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타 시·도로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5월 2일(수)에는 ‘세계 천식의 날’을 맞아 질병관리본부와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가 공동으로 대전광역시 유성 리베라호텔에서 ‘제6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중증 천식 등 중증 알레르기 질환 관리 방법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국가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정책 소개와 더불어 보건소 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무 교육도 시행한다.

보건복지부 개요
보건복지부는 보건 식품 의학 정책, 약학정책, 사회복지, 공적부조, 의료보험, 국민연금, 가정복지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정부 부처이다. 기획조정실, 보건의료정책실, 사회복지정책실, 인구정책실 등 4개실이 있다. 산하기관으로 국립의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정신병원, 국립소록도병원, 국립재활원, 국립결핵병원, 망향의 동산 관리소, 국립검역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hw.go.kr

연락처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정성훈
02-2023-754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