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수도권 행정·공공기관 저공해 자동차 구매실적 저조해

- '11년 신규 구매 차량 약 20%만 저공해자동차로 구매…구매의무비율(30%)에 못 미쳐

- 환경부, 전기자동차 보급 및 구매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구매비율 제고키로

서울--(뉴스와이어)--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청장 이희철)은 수도권 지역의 2011년도 저공해자동차 구매 조사 결과, 2011년 신규 구매 차량의 약 20%만이 저공해차로 구매하는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수도권 지역에서 자동차를 10대 이상 보유한 행정·공공기관 216곳 중, 2011년 자동차를 새로 구매한 189개 기관의 저공해자동차 구매실적은 평균 구매비율 약 20%인 총 640대로 확인됐다. 이는 구매의무비율인 30%에 10%이상 미달하는 수치이며, 의무비율을 달성한 기관은 약 26%인 50개 기관에 불과했다.

기관별 구매 실적을 살펴보면, 지식경제부는 저공해자동차 104대로 가장 많은 저공해자동차를 구매했고, 서울시는 전기자동차를 31대 구매했다. 반면, 경기도 하남시청, 의정부시 시설관리공단 등 25개 기관은 자동차를 5대 이상 구매하면서도 단 1대의 저공해자동차도 구매치 않아 대기질 개선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도 교육청, 경기도 양주시청,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한국철도공사, 한국수출입은행 및 중소기업은행 등 6개 기관은 2011년뿐만 아니라 2010년에도 저공해자동차 구매실적이 없었다.

이처럼 구매실적이 저조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로는 충전소 부족, 출력문제 등 관리·운영 불편과 출시 차종 부족 등이 저공해자동차 구매를 꺼리는 주요인으로 파악됐다.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조사 결과 파악된 기피요인 등을 개선하기 위해 향후 전기차 보급 확대, 저공해자동차 구매 인센티브 확대, 저공해자동차 체험 기회 제공 등을 실시하며 구매 의무 이행 및 보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자동차 제작·수입사의 수도권 지역 내 저공해자동차 보급 의무비율을 7.5%에서 8.5%로 상향 조정하는 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2012년도 저공해자동차 구매계획을 사전 조사하고, 홍보·교육 강화 등을 통해 구매비율 준수를 유도할 계획이다.

수도권대기환경청 관계자는 “저공해자동차 보급·확산은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대기오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며 “행정·공공기관이 저공해자동차 보급·확산에 앞장 서 달라”고 부탁했다.

아울러 관계자는 “저공해자동차 기준이 강화되는 2012년 7월 1일 이후에는 현행 제3종 저공해자동차에 해당되는 대부분의 LPG, 경유 차량 등이 대상에서 제외된다”며 “향후 저공해자동차 구매 시에는 가능하면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 등 현행 1·2종 저공해자동차를 구매해달라”고 말했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 자동차관리과
신의찬 주무관
031-481-136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