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문석 방통위 상임위원, 몽골 정보통신기술우정청장과 ICT 분야 협력 방안 논의
양 상임위원은 그 동안의 양국 간 ICT 분야 교류의 역사에 대해 언급하면서, 방통위가 ICT 분야 협력을 통한 양국의 공동 발전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양 상임위원은 양국이 그 동안 ▲전문분야 인력 교류, ▲정책자문, ▲지상파 DMB 사업 등에 협력해온 사실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2010년 10월 시험방송을 시작한 몽골의 한국계 지상파 DMB 사업자 UB DMB의 사업이 순조롭게 상용화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바테르덴 잘라브수렌 청장은 “브로드밴드 등 정책자문, 전문 인력 초청 연수 등 한국의 지원과 협력이 몽골 ICT 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또한 ”한국의 KT와 SKT가 지분 투자를 통해 몽골 유무선 통신시장에 진출한 바 있으며, 지상파 DMB에서도 한국 사업자가 곧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고 하면서 이 분야의 한몽 협력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였다.
양국 간 구체적인 협력 분야와 방법에 대해 바테르덴 잘라브수렌 청장은 ▲브로드밴드와 전자정부 구축에 대한 한국 정부의 협력, ▲2015년으로 예정된 몽골 디지털방송 전환에 대한 경험 전수, ▲LTE 상용화 관련 한국의 모범사례 공유, ▲몽골 방송법 개정 작업에 대한 협력을 당부하였다.
또한 바테르덴 잘라브수렌 청장은 “700MHz 대역을 기반으로 하는 몽골의 LTE 서비스 구축과 관련하여 한국 정부와 기업의 협조를 구한다”고 하였으며, “방송법 개정 과정에서 한국의 경험 전수를 당부한다”고 하였다.
이에 대하여 양 상임위원은 “한국의 LTE용 주파수 배치와 관련한 자료를 제공할 것”과 “한국 방송법이 2000년과 2009년에 대폭 개정되었는데 기회가 되는 대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약속하면서 양국 방송학회 등의 학술교류도 제안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 개요
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며, 방송과 통신의 균형발전과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통령 직속 합의제 행정기구로 출범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된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방송의 독립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고, 방송과 통신의 균형 발전 및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등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cc.go.kr
연락처
방송통신위원회
국제협력관실 국제협력담당관
박철 사무관
02-750-1711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