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물복지 소외 농촌 지하수 이용 취약계층에 무료 수질검사 지원

서울--(뉴스와이어)--환경부는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농촌지역 취약계층의 대부분이 과거부터 사용해오던 우물 등 지하수를 수질검사 없이 먹는물로 이용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무료로 간이수질검사 등을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환경부의 ‘지하수 안심이용 무료 수질검사 시범사업’은 21일부터 31일까지 실시된다.

태안군은 군 전체의 상수도 보급률이 약 60%로 농촌지역 수준으로 저조하며 일부 보급률이 40%도 안 되는 읍·면도 있어 시범사업 우선 대상으로 선정됐다.

※ 농촌지역(면단위 이하)은 상수도 보급률이 60% 미만이며, 일부 농촌지역 지하수는 질산성질소, 총대장균 등의 초과율(30∼40%)이 높으나, 미신고 사용 또는 긴 검사주기(2~3년)로 먹는물 안전관리가 취약한 상황이다.

환경부는 우선 농촌지역에서 먹는물 수질기준 중 가장 많이 초과되는 질산성질소, 총대장균군에 대해 1차로 진단키트 등을 활용해 수질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1차 수질검사 결과 기준초과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2차로 지자체 상수도사업소에서 무료로 수질검사(13개 항목)를 실시해 먹는물의 안전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주민에게 통보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1·2차 검사시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된 곳에 대해서는 전문가가 현장을 확인하고, 관정상태가 불량하거나 노후한 것으로 의심될 경우 주변 오염원 실태 및 관정 내부상태 조사(CCTV)를 실시하는 한편, 지하수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술지원을 해 줄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번 ‘지하수 안심이용 무료 수질검사 시범사업’을 통해 개선점을 보완한 후 상수도 미보급 지역의 취약계층에 대한 무료 수질검사가 전국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촌 주민들이 지하수 관정 주변의 축산분뇨, 비료사용, 정화조 등 지하수 오염원을 자율적으로 관리하고 지하수 관정관리도 철저히 할 수 있도록 ‘지하수 안심이용 관리매뉴얼’을 제작해 배포할 예정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환경기반연구부 상하수도연구과
정원화 연구관
032-560-835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