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전파연구원, 8월 1일부터 ‘스마트기기’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이동형)은 8월 1일부터 전자파노출량, 전파잡음, 방송수신정보, 와이파이 정보 등 전파환경정보에 대한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이용자는 학교, 병원 등 인구가 밀집된 1,410개 지점과 25,927개의 무선국에 대한 전자파노출량 실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의 지역은 전자파계산기를 통한 예측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 공개한 전자파노출량은 국제권고기준 및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정한 전자파 인체보호기준보다 매우 낮아 국민들의 전자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 시·군·구 2,200여개 지점에서 측정한 전파잡음 정보는 3차원 지도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데이터를 바로 내려 받을 수도 있다. 전파잡음 정보는 학계, 연구소, 산업계 등의 전파연구, 무선통신기기 개발 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전국 어디서나 DTV, DMB, FM, AM 등 방송매체에 대한 방송사명, 수신가능 여부 등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시청자가 DTV 수신가능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되어 디지털방송 난시청 해소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동통신사업자(KT, SKT, LGU+)와 2,300여개 지자체·공공기관에서 설치한 약 19만여개의 와이파이 정보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사업주체별로 와이파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관련 장비 확대 구축 등 건전한 경쟁을 통한 와이파이 음영지역 해소가 기대된다.
국립전파연구원은 고품질 전파환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새로운 정보도 지속적으로 추가해 나갈 계획이다.
방송통신위원회 개요
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며, 방송과 통신의 균형발전과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통령 직속 합의제 행정기구로 출범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된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방송의 독립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고, 방송과 통신의 균형 발전 및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등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cc.go.kr
연락처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
정보운영팀
김세겸 사무관
02-710-6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