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아날로그 TV방송 지역별로 순차 종료키로
- 8월 16일 울산광역시를 시작으로, 12월 31일 수도권 종료
디지털방송 수신기기 보급률이 99%를 넘는 등 방송종료 여건이 조성된 비수도권 지역은 지역별 방송사·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당해 지역의 아날로그방송 종료일시를 결정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 6월 20일부터 TV화면 전체를 안내자막으로 가리는 가상종료를 상시 실시하고 있는 울산광역시는 8월 16일(목) 14시에 아날로그방송이 완전히 종료될 예정이다. 한편, 정부지원 대상의 절반 이상이 집중되어 있으나, 정부지원 신청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도권 지역은 12월 31일에 아날로그방송을 마지막으로 종료할 계획이다.
그동안 정부는 방송계와 힘을 모아 체계적인 홍보와 정부지원을 실시하는 등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착실히 준비해왔다. 그 결과 아날로그방송 종료까지 5개월 남짓 남아있는 현재, 전체 가구의 97.8%는 아날로그방송이 종료되더라도 계속해서 TV 시청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전방위 홍보에도 불구하고, 아날로그방송 직접수신가구의 정부지원 신청·접수 추이는 일평균 1,500여건 수준으로 계속 정체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방통위는 자발적 디지털전환 규모를 고려하지 않고, 이 추세가 계속될 경우 금년말까지 정부지원을 받지 않은 약 22만 가구가 TV를 볼 수 없게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TV시청률이 특히 높은 연말연시에 시청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선방안을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역별 순차 종료에 따라 금년 12월 31일에 아날로그방송이 종료되는 것으로 알고 있던 시청자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당 지역 뉴스·특별프로그램, 공익광고 등을 통해 지역별 종료일시를 집중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방송통신위원회 개요
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며, 방송과 통신의 균형발전과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통령 직속 합의제 행정기구로 출범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된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방송의 독립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고, 방송과 통신의 균형 발전 및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등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cc.go.kr
연락처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방송정책과
엄지현 사무관
750-2337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