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전파통신회의 준비를 위한 아·태지역, 전파통신회의(APG-15) 의장단 진출

- APG-15 부의장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위규진 본부장, Working Party1(이동통신 분야)의장에 전파연구원 김경미 연구관 선출

서울--(뉴스와이어)--아태전기통신협의체(APT)는 2015년 11월 개최 예정인 세계전파통신회의(WRC-15)에 아태지역이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아태지역 세계전파통신회의 준비그룹(APG-15)” 제1차 회의를 열고, 동 그룹을 이끌어 나갈 의장단 구성을 완료했다.

※ APG(Aisa-Pacific Telecommunity Conference Preparatory Group) : 세계전파통신회의(WRC)에서 아태지역의 공동대응을 위한 APT 38개 회원국의 사전준비회의로 WRC-15(’15.11)까지 총 5차례의 회의 개최 예정

방송통신위원회는 “2012년 9월 10일부터 11일까지 2일간 베트남 다낭에서 개최된 APG-15 회의에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위규진 본부장이 APG 총회 부의장으로,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 김경미 연구관이 이동통신 추가 주파수 확보 및 재난·재해 등 공공주파수 등 핵심의제를 다루는 Working Party 1 의장으로 선출되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동위성통신분야 실무작업반 의장으로 (주)에이알테크놀로지 박세경 전무가 단독 추천되어 차기 APG 회의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APG-15에 우리나라 수석대표로 참가하고 있는 최준호 주파수정책과장은 “이번회의에서 우리나라 전문가가 중요 의장단에 진출하여 우리나라가 아·태지역 주파수 표준을 주도하고, 이동통신 주파수 확보를 위해 마련한 모바일 광개토 플랜 추진에도 더욱 힘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WRC-15을 준비하기 위한 이번 APG-15 1차 회의에는 APT 38개 회원국 대표 및 국제기구 등에서 250여명이 참가하였으며, 향후 이동통신, 위성, 항공·해상용 주파수 확보 등 27개 WRC-15 의제에 대해 아·태지역 국가들의 주파수 주권확보를 위한 전략수립 및 대응전략을 마련하게 된다.

방송통신위원회 개요
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며, 방송과 통신의 균형발전과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통령 직속 합의제 행정기구로 출범하였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설립된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과 통신에 관한 규제와 이용자 보호, 방송의 독립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및 공익성을 보장하고, 방송과 통신의 균형 발전 및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 등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cc.go.kr

연락처

방송통신위원회
주파수정책과
이윤호 서기관
750-2271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