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교과부 협력체계 구축, 환경융합분야 성과 높인다
환경부(장관 유영숙)는 교과부와 공동으로 11일 서울 중구 바비엥Ⅱ 컨퍼런스룸에서 각 부의 환경융합분야 우수연구자들이 모여 성과를 발표하고 연구정보를 공유하는 합동 연구 성과 발표회를 개최한다.
이번 성과발표회는 지난 6월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와 교과부(한국연구재단) 간에 체결된 ‘기초-실용 연계지원을 위한 업무협정’에 따라 추진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총 32개 과제(환경부 환경융합사업 21개, 교과부 기초연구 11개 과제)의 발표를 환경융합소재, 자원순환, 측정 및 공정의 3개 분과로 나눠 진행한다.
연구 성과 발표를 마친 후에는 자유토론을 통해 참가자들이 발전방향을 공동으로 모색하며 연구 성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연구수행자의 애로사항 지원 등을 위한 1대1 상담센터도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가과학위원회에서 정책목표로 제시한 국가 R&D 투자시스템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예를 들면, 교과부에서 수행한 ‘대기 미세입자의 특성 규명을 위한 단일입자 분석기술의 개발’ 연구를 환경부의 ‘질소산화물(NOx) 가스 정화용 나노기공 구조체 필터 개발’ 등의 환경기술 사업화 과제로 연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실용·실증 중심의 환경부 R&D 사업에 원천 기술력을 융합·강화해 국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김종률 환경부 녹색기술경제과장은 “국가 R&D 성과제고를 위한 부처 간 협업연구가 강조되는 시점에서 환경부와 교과부의 기초연구-사업화 연계 협력은 부처협업의 선도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한국연구재단의 관계자는 “합동성과발표회 외에도 연구정보 공유 네트워크 구축 등 기술개발 사업의 진흥을 위한 지속적인 업무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R&D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며 “향후 환경부와 교과부 사업 외에 전체 R&D사업에 확대·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와 교과부(한국연구재단)는 지난 6월 29일 환경 분야 국가R&D 예산효율 및 연구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업무협정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양측은 에너지·환경융합 분야 연구과제·인력에 대한 정보를 상호 공유하며 연구자의 참여기회 확대와 전문성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신규 사업 기획단계에 양 기관의 관계자가 공동 참여하는 기획협의체(가칭)를 구성·운영하는 등 연계체계를 구축하며 긴밀히 협조할 계획이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미래환경사업실
박용진 연구원
02-380-0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