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신규 판매 승용차 30대 중 1대는 친환경차

서울--(뉴스와이어)--국내에서 신규로 판매된 승용차 중 친환경자동차의 비중이 1년 사이 2배 증가하며 친환경자동차 보급정책이 본궤도에 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환경부는 16일 ‘2013년 환경친화적 자동차 보급 시행계획’을 발표하면서 2012년 신규등록 승용차수를 분석한 결과를 함께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2년 신규 판매된 약 117만대 중 3만 6천 대가 친환경자동차로 30대 중 1대(3.1%)가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등 친환경자동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친환경자동차 시장은 2004년 50대에 불과했으나, 2010년 8천 대 → 2011년 2만 대 → 2012년 3만 6천 대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승용차 신규등록대수 중 친환경자동차의 비율 역시 2010년 0.6%에서 2011년 1.6%, 2012년 3.1%로 매년 2배 이상 증가하며 자동차 시장에 새 장을 열어가고 있다.

반면, 전세계 친환경자동차 시장은 일본, 미국시장을 필두로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있으며, 2011년에는 7,372만 대의 승용차 판매대수 중 약 1.2%인 85만 대가 친환경자동차로 나타났다.

이렇듯 국내 친환경자동차 시장이 성장한 데에는 고유가 지속, 차종 다양화 등의 영향도 있지만 환경부 등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보급정책이 주효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환경부는 2000년부터 경유버스를 매연 배출이 적은 천연가스(CNG) 버스로 대체하는 사업을 추진해 2012년까지 전국적으로 3만 2천대(누적)를 보급하는 성과를 이룩했으며, 이 과정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친환경자동차 보급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 대당 1,600~1,850만 원 구매보조 및 충전소 설치 융자 등을 통해 전국 시내버스의 약 90%를 천연가스버스로 대체

2004년부터는 하이브리드차 보급을 시작하고 대당 1,400~2,800만 원의 국고보조를 실시했으며, 5년만인 2009년부터는 구매보조금 없이 세제감면(최대 310만 원)만으로도 소비자의 선택을 받도록 경쟁력을 확보했다.

※ 아반떼/포르테 LPi하이브리드(2009년), 쏘나타/K5하이브리드(2011년), 알페온 이어시트(2012년) 등 국내 자체모델 출시

또한, 2011년부터는 온실가스 저감대책의 일환으로 전기차 보급을 시작해 짧은 기간에 공공부문에 1,017대를 보급하고, 충전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보급 기반을 마련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보급정책에 힘입어 국내 자동차 제작사의 친환경차 개발도 가속도가 붙은 모양새다. 제작사들은 각 사의 인기 주력차종에 대해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 모델을 연이어 출시해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적극적인 판매전략을 펼치고 있다. 또한, 안정적인 시장 형성과 확산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새 정부의 친환경자동차 지원정책에 대한 기대감을 숨기지 않는 분위기다.

앞으로도 하이브리드차의 차종 다양화와 전기차의 주요 부품가격의 안정 및 충전인프라 확충 등이 뒷받침되면 친환경자동차의 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환경부는 2013년부터 수소연료전지차(FCEV) 시범보급을 시작하고, 전기차를 공공성이 큰 민간으로 확대* 보급하며 친환경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도모할 계획이다.

* 상용화 대비 민간보급 시범사업 실시(3~5개 지자체를 선정해 인구밀집 공동이용형, 산업단지 업무용, 관광렌트형 등 시범 보급)

이중 수소연료전지차는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2009.12~2013.2, 지식경제부) 이후 본격 보급에 대비하기 위해 공공부문 시범보급 사업이 추진되며, 그 일환으로 광주광역시에 차량 5대와 충전소 1기를 보급할 예정이다.

2011년부터 공공부문 보급사업을 추진한 전기차는 여전히 동급 내연기관 차량과 가격차가 큰 편임에 따라 구매보조금 지원*과 충전인프라 확충을 병행하는 한편, 구매·운행단계에서의 각종 혜택 마련과 카셰어링·렌트카 등 민간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다.

* 고속차 1,500만 원, 저속차 578만 원, 완속충전기 800만 원(전기설비공사 포함)

한편, 환경부에서 고시한 보급계획은 시·도별로 지역특성에 맞는 자체계획으로 구체화해 시행될 예정이다.

※ (환경부 고시) 2013.1.9. 지자체 통보, (지자체 계획) 2013.3.31.까지 환경부로 보고

박연재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국가차원의 보급계획과 지자체에서 발굴하는 지역 특화사업이 연계됨으로써 친환경자동차 보급이 활성화되고, 그린카 4대강국 진입 목표에도 한발 다가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교통환경과
박광칠 서기관(전기차 관련)
044-201-6942
임충묵 사무관(하이브리드차, 수소차 관련)
044-201-692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