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제2차 인구·고령화 포럼 개최

- 100세 시대에 대비한 노동 및 금융시장의 정책과제

서울--(뉴스와이어)--100세 시대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인구고령화가 향후 노동시장과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정책과제를 고민하는 논의의 장이 열렸다.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원장 박용주), 국민연금공단(이사장 전광우)은 2월 14일(목) 아침(07:30~09:30) 서울 롯데호텔에서 ‘제2차 인구·고령화 포럼’을 공동개최했다.

지난해 11월 창립된 인구·고령화 포럼은 갈수록 빨리지는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인구문제에 전문적 식견과 관심이 높은 민관 전문가 110여명이 참여한 국내 최대 포럼으로서 특히 금번 포럼에는 대통령 소속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민간위원이 대거 참석하는 등 인구문제에 관한 높은 관심과 열기를 반영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확대를 위한 효과적 정책방안이 무엇인지, 100세 시대의 은퇴설계를 위한 금융시장의 역할에 대해 열띤 토론이 이루어졌다.

서울대 이철희 교수와 한화생명 은퇴연구소 최성환 소장의 발제에 이어 시작된 토론에서 개인과 정부를 향한 다양한 주문과 정책 대안이 쏟아졌다.

박성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민간위원은 100세 시대에 대비해 노후에 대해 막연한 불안을 갖기보다 자신에게 맞는 생애주기율표를 만들어 30대부터 퇴직이후의 제2의 직업, 제3의 인생을 위한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숙희 한양사이버대 교수는 은퇴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확대를 위해서는 고령자의 단시간 일자리를 보다 활성화하고 특히 계속고용을 위한 재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준(準)의무화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조선일보의 김동섭 기자는 공적연금의 낮은 소득대체율, 변액연금 해지와 같은 개인연금의 사례를 지적하고 55세에 퇴직해 61~65세 국민연금 수령시까지 5~10년간 한시적으로 받을 수 있는 가교연금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금번 포럼을 통해 제시된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와 정책 제안을 좀 더 가다듬어 향후 인구정책 수립 및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정책 의제 발굴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개요
보건복지부는 보건 식품 의학 정책, 약학정책, 사회복지, 공적부조, 의료보험, 국민연금, 가정복지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정부 부처이다. 기획조정실, 보건의료정책실, 사회복지정책실, 인구정책실 등 4개실이 있다. 산하기관으로 국립의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정신병원, 국립소록도병원, 국립재활원, 국립결핵병원, 망향의 동산 관리소, 국립검역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hw.go.kr

연락처

보건복지부
고령사회정책과
이영재
02-2023-846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