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 수유한 아이,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낮고 인지발달 정도 높아

서울--(뉴스와이어)--“엄마가 건강해야 아이도 건강하다.”는 말이 과학적으로 확인됐다.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는 22일 산모⋅영유아의 환경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조사 결과, 산모의 체내 유해물질농도와 모유수유 여부에 따라 아이의 체중과 신경인지발달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는 등 산모의 생활습관과 모유수유 여부가 아이의 성장과 인지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 6년 동안 우리나라 산모 총 1,700여명과 출생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 영아 : 출생~1세 미만 / 유아 : 1세 이상~6세 미만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모의 체내 납 및 수은 농도와 영·유아 성장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혈중 납 농도가 평균(1.3㎍/dL)보다 높은 산모에서 태어난 아이는 만 2세가 됐을 때 체중이 남아는 177g, 여아는 204g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납은 주로 신경계에 영향을 주고 특히 어린이의 신체와 신경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며, 국내 여성(20~39세)의 혈중 납 농도는 1.21㎍/dL로 미국* 0.64㎍/dL, 캐나다 0.89㎍/dL에 비해 높으나, 독일* 3.07㎍/dL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 미국 : 18-49세 임신부(국민건강영양조사, 2010)
** 캐나다 : 20-39세 여성(캐나다 환경보건조사, 2009)

*** 독일 : 25-69세 성인(독일 인체바이오모니터링, 1998)

납은 임신부가 나트륨을 소금기준 9g 이하(티스푼 2개 분량)로 보통보다 적게* 먹으면서 칼슘을 우유 200㎖ 3개 이상 정도로 많이* 섭취한 경우, 납 농도가 약 1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은은 제대혈의 수은 농도가 1㎍/L 증가할 때마다 만 2세 유아의 체중이 360g 줄었으며, 임신 말기의 수은 농도도 1㎍/L 증가할 때마다 체중이 186g 주는 등 아이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실
환경보건정책과
현성호
044-201-676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