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호조에도 불구하고 해외주식펀드 0.07% 소폭 하락
펀드평가사 KG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8일 아침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해외주식펀드는 한 주간 0.07% 하락했다. 미국과 유럽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북미주식펀드와 유럽주식펀드가 상승 전환했다.
해외주식혼합형과 해외채권혼합형 펀드는 각각 1.12%, 0.19% 상승하였고, 해외채권형도 0.24% 상승하였다. 해외부동산형은 0.55% 상승하고 커머더티형은 0.92% 하락하며 대안투자상품들은 서로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해외주식펀드를 세부 유형별로 살펴보면 헬스케어섹터펀드가 3.22%의 수익률로 주간성과 최상위를 차지했고, 대부분의 해외펀드들이 상승 반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중국주식펀드, 인도주식펀드 및 기초소재섹터펀드는 하락폭을 줄이는데 그쳤다.
일본증시는 미국의 각종 경제지표 개선과 구로다 일본은행총재 지명자 효과 등에 힘입어 장중 12,000선을 넘으며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이에 일본주식펀드는 3.03%의 수익률로 지역별 주간 최고성과를 기록했다.
유럽주식펀드는 2.00% 상승했다. 중국의 지표 부진과 부동산 규제 강화 및 유럽 주요 기업들의 실적 부진의 영향으로 하락했으나, 유로존의 제조업-서비스업 복합 구매자관리자 지수가 시장 예상을 넘으며 상승 반전하였다. 유럽중앙은행과 영란은행의 기준금리와 자산매입 프로그램 규모 동결 또한 유럽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수출 부진, 무역적자 지속 등 2월 경제지표 부진, 대형기업들의 실적부진 우려 및 경기회복에 대한 불확실성 등 각종 악재들이 작용하여 하락하던 브라질 증시는 정부의 경기부양을 위한 추가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져 하락 분을 모두 만회하며 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브라질주식펀드는 1.97% 상승했다.
동남아주식펀드는 1.34%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전주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기업 실적 개선과 해외 주요기관들의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 상향 조정으로 인해 인도네시아증시가 강세를 보였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동남아주식펀드는 연초 후 모든 주간 수익률에서 플러스를 기록했다.
시퀘스터에 대한 우려와 중국의 경제 지표 부진이 부담으로 작용했으나, 2월 비제조업 지수의 1년래 최고치 기록과 민간고용 지표가 개선되면서 북미주식펀드 1.30% 상승했다. 연준이 베이지북을 통해 전반적으로 경제 활동이 완만한 속도로 확장되고 있다고 밝힌 것 또한 호재가 됐다.
국제원유 가격 하락과 해외 수요 감소에 의한 경제성장 둔화 우려가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며 러시아증시가 연중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미국 고용지표 개선과 위험자산 투자선호도가 부각되며 러시아주식펀드는 0.43%의 수익률로 상승 반전했다.
인도주식펀드는 경제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 및 일부 대형기업들의 부진한 실적이 발표 되며0.72% 하락했다. 주 후반 저가 매력도 부각과 미국 고용지표 호조가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전 주에 비해 하락폭을 줄일 수 있었다.
급등에 따른 부담과 규제 정책의 강화가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면서 중국주식펀드는 지역별 주간성과의 최하위 성적인 -0.77%를 기록했다. 주 중반 민생 관련 정부지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반등하였지만, 주요 실물지표의 일괄 발표를 앞두고 경계심리 보이며 하락폭을 줄이는데 만족 해야 했다.
섹터별로 살펴보면 헬스케어섹터펀드가 3.22%로 해외주식형펀드 중 최고 성과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금융섹터, 소비재섹터, 에너지섹터, 멀티섹터 모두 1%이상 상승했다. 유일하게 기초소재섹터만 1.64% 하락하며 전주에 이어 하락세를 이어갔다.
웹사이트: http://www.funddoctor.co.kr
연락처
KG제로인
레이팅사업부
김혜숙 차장
02-769-9973
-
2014년 5월 25일 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