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용수 박사, ‘성경이 말하는 어머니의 EQ교육’ 출간
- 성경에서 원리 찾은 바른 어머니상 제시
자녀교육에 억척스러운 한국 어머니의 유형에 따라 온갖 ‘맘’들이 탄생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하나님의 창조원리에 부합한 ‘성경맘’은 없는 것 같다. 이에 유대인들을 모델로 지금까지 수많은 교육 관련 문제를 진단하고 해법을 제시해 온 재미교육학자 현용수 박사가 최근 ‘성경이 말하는 어머니의 EQ교육(부제: 현용수의 어머니 신학 노하우)’을 출간, 성경적 바른 어머니상이 무엇인지 탐구하여 바람직한 ‘성경맘’의 실체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총 2권, 5부로 구성된 이 책은 부피만큼이나 다양한 성경적 근거를 바탕으로 어머니 신학의 이론을 담고 있다. 그 모델은 유대인 어머니들이다. 25년 가량 유대인 교육연구에 몰두해 관련 책만 31권을 집필한 현 박사는 이 시대의 한국의 어머니들이 성경적인 원리와는 정반대로 가고있는 데 대해 걱정스러운 눈길을 보내고 있다.
현재 한국은 부부의 이혼율, 저출산율, 낙태율 등 가정과 관련한 문제에서 OECD 국가 중 단연 1위다. 게다가 성범죄율, 노인 자살율까지 최상위에 놓여 있으니 문제의 심각성은 사회 공동체의 붕괴를 우려할 정도다.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아버지보다 어머니 교육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탈무드는 “하나님은 모든 곳에 계실 수 없어서 어머니를 만들었다”고 말한다. 유대인 남편은 아내를 ‘가정’이라 부른다. 그만큼 아내가 중요하다는 의미로 아내가 굳건하면 가정이 굳건하고, 아내가 무너지면 가정도 무너진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어머니가 가정의 분위기를 좌우하는데, 어머니가 차가우면 온 집안이 차가운 집에 사는 것과 같다고 여긴다. 현 박사의 주장에 따르면 생명신학적 입장에서 어머니의 본질은 생명을 잉태하고 양육하는 것이다. 어머니는 사랑과 정서와 눈물의 상징인데 이는 자녀들의 정서(EQ) 교육의 근원이 된다.
이밖에도 어머니의 눈물과 가슴이 왜 자녀들의 정서적 고향인지에 대한 설명도 흥미롭다. 또한 ‘여자의 해산함으로 구원을 얻으리라’(딤전 2:15)라는 신약성경 해석 상의 난제를 어머니 신학으로 명쾌하게 풀어낸 점도 재미있다. 최초의 가정이 하와의 잘못으로 무너진 이후 가정을 세우기 위해 여성이 지켜야 할 세 가지 율법이 있다고 강조하고 있는데 그 세 가지 율법이 무엇인지 찾아보는 것도 흥미로운 독서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하여 본서에는 유대인 어머니의 7가지 자녀양육법을 자세히 설명하여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쉐마교육원 개요
쉐마교육연구원은 유대인의 부모교육을 모델로 한국의 기독교 교회, 가정, 사회 교육의 대안을 모색하는 기관이다. 2003년 세워진 본 연구원의 설립자는 현용수 박사로 1996년 IQ는 아버지, EQ는 어머니 몫이다 라는 베스트셀러를 통해 EQ 열풍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현박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유대인의 교육인 쉐마교육을 연구하여 교육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켜왔다. 본 연구원은 각종 세미나와 교육 클리닉을 통해 현 박사의 쉐마교육을 기독교 가정은 물론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리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hemaiqeq.org
연락처
쉐마교육연구원
02-3662-6567
홍보대행사 키위피알
070-8236-823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