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유용곤충 탐색과 이용을 위한 산·학·연 심포지엄’ 개최

서울--(뉴스와이어)--자생 곤충자원의 유용성 탐색, 특히 천적의 발굴 및 이용을 통한 곤충자원의 산업화 기반 마련을 위해 관련 산업계, 학계, 연구소가 한자리에 모인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이상팔)은 24일 인천 서구 종합환경연구단지 내 생물자원관에서 ‘유용곤충 탐색과 이용을 위한 산·학·연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유용곤충관련 분야별 전문가 7인을 초청해 곤충 유용성을 활용한 관련 사업들에 대한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세미나는 1부와 2부로 나눠 실시되며, 1부는 곤충자원의 현황을 주제로 2부는 천적 발굴 및 이용을 주제로 추진된다.

먼저, 1부에서는 곤충산업의 국내외 동향을 주제로 애완용곤충, 먹이곤충, 화분매개곤충, 생물농약, 식·약용시장과 일본 농업연구센터, 중국 곤충자원연구소, 미국 경제곤충센터와 영국 곤충생태원 28곳의 관련연구 현황에 대해 농촌진흥청 최영철 연구관이 발표한다.

이어 곤충의 산업적 활용방안과 관련해 식용곤충, 약용곤충 등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인 유용곤충분야에 대해 경북대학교 박종균 교수가 소개하고, 국내외의 유용곤충의 활용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곤충의 수입과 동향은 오상킨텍스 이준석 대표가 발표한다.

※ 우리나라 수입허가 동물 32종 중에서 천적곤충이 19종이며 주요 수입천적은 14종이다. 지난 5년간 천적곤충의 통관 건수는 2,059회에 이르고 2010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이준석 대표 발표자료)

특히, 농촌진흥청 박해철 박사는 문화적 측면의 사람과 곤충의 관계를 정리한 문화곤충을 발표하며, 조선시대의 양잠과 양봉의 역사 그리고 세종실록에 기록된 자원곤충관련 그 당시에 벌어진 곤충과 인간의 여러 상호작용을 다룬다.

2부에서는 생물자원관의 김기경 박사가 자생 천적자원의 활용기반 마련을 위해 2011년부터 추진한 연구결과를 정리해 천적곤충 200종과 주요 해충에 대한 포식성과 기생성 천적자료를 발표한다.

천적의 발굴과 현재 이용하는 유용 천적의 품질관리에 대해서는 농촌진흥청 식량과학원의 최만영 연구관이 발표한다.

또한, 생물이용연구소의 권기면 대표, 안동대학교 정철의 교수 등이 유용 생물자원의 발굴과 활용, 복숭아 순나방의 포식성 천적류를 탐색한 결과를 포함한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물적 방제에 대해 강연한다.

이상팔 생물자원관장은 “곤충자원은 21세기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기대되는 생물산업의 주재료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이 관련사업 중 천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정책홍보팀
조영근
02-2110-6521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