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병원, 구순구개열 수술 성공
지난 2일, 건국대병원 2층 성형외과 외래 진료실에서는 왕 펑(가명)(34)씨의 치료가 진행중이었다. 구순구개열(속칭 언청이)을 앓던 왕 펑씨는 남들과 다른 얼굴 탓에 걱정이 많았다. 중국의 한 병원을 찾아 수술을 받았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 전에 비해 코 모양은 일그러졌고, 콧구멍의 모양도 각기 달랐다. 숨쉬기조차 힘든 상황이었다.
재수술을 위해 병원을 찾던 왕 씨는 건국대병원에 연수를 왔던 중국 의료진에게 성형외과 엄기일 교수를 추천받았다. 이미 한 차례 실패 경험이 있었던 수술이기에 그의 고민은 깊어갔다. 그럴수록 엄기일 교수와 많은 이야기를 하며 신뢰감을 얻었다. 마침내 왕 씨는 엄 교수를 믿고 수술을 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2월, 건국대병원 성형외과 엄기일 교수팀은 본격적인 구순구개열 치료에 나섰다. 왕 펑씨의 윗 턱(상악)을 앞으로 빼 고정시킨 후 코 바닥에 뼈를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했다. 이후 코 비중격을 살리는 수술 역시 진행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삐뚤어진 코와 콧구멍은 제자리를 찾았다.
수술이 끝난 후 왕 펑씨는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 그리고 건국대병원 의료진들에게 거듭 감사 인사를 전했다. 왕 씨는 “무엇보다 수술이 잘 끝나 기분이 좋다”며 “일상생활을 가능케 해준 의료진들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왕 씨의 수술을 집도한 건국대병원 성형외과 엄기일 교수는 “중국으로 귀국할 때 여권을 다시 발급받아야 할 만큼 얼굴이 바뀌었다”며 “전보다 상태가 많이 호전돼 다행스럽고 기쁘다”며 왕 씨의 수술을 마친 소감을 말했다.
건국대학교병원 성형외과 엄기일 교수는 “음식물을 씹거나 물을 삼킬 때 조심해서 먹고 수술 자국 주변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고 왕 씨에게 수술 후에 주의해야 할 사항도 함께 전했다.
건국대학교 개요
독립운동의 맥동 속에서 태어난 당당한 민족사학 건국대학교는 1931년 상허 유석창 선생께서 의료제민(醫療濟民)의 기치 아래 민중병원을 창립한 이래, 성(誠) 신(信) 의(義) 교시를 바탕으로 ‘교육을 통한 나라 세우기’의 한 길을 걸어왔다.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서울캠퍼스와 충북 충주시 충원대로 GLOCAL(글로컬) 캠퍼스에 22개 단과대학과 대학원, 4개 전문대학원(건축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10개 특수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과 연구, 봉사에 전념하고 있다. 건국대는 ‘미래를 위한 도약, 세계를 향한 비상’이란 캐치프레이즈 하에 새로운 비전인 ‘르네상스 건국 2031’을 수립, 2031년까지 세계 100대 대학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신지식 경제사회를 선도하는 글로벌 창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nkuk.ac.kr
연락처
건국대학교
홍보실
02-450-3131~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