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지하도상가 라돈으로부터 안전
지하철 라돈조사는 지하철 이용인구가 많고, 도시철도 자체 측정결과, 라돈농도가 높은 역 1호선 5개소(명덕, 중앙로, 칠성시장, 동대구역, 해안), 2호선 5개소(성서산업단지, 용산, 두류, 반월당, 범어)를 선정했고, 지하도상가는 두류지하상가, 중앙지하상가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1호선 18.3~25.9Bq/㎥(평균 24.1), 2호선 22.7~34.6Bq/㎥(평균 27.4), 지하상가 10.1~46.3Bq/㎥(평균 28.2)로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치(148Bq/㎥)의 1/5~1/6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라돈은 토양이나 암반 내에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자연 방사능의 일종으로 무색, 무미, 무취로 인지가 힘들고 고농도에서 오랜 기간 노출되면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돈의 오염은 암반과 토양을 가까이 하고 있는 지하공간에서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지하공간 시설물은 건물바닥이나 벽의 갈라진 틈을 메꾸어 주고 환기시설을 잘 관리해 라돈의 오염도를 낮춰야 하며, 가정에서도 주기적인 환기로 라돈의 축적을 막아야 할 것이다.
대구시 김선숙 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장은 “대구지역 지하철, 지하도 상가 등은 라돈으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지하 공공시설물에 대해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모니터링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daegu.go.kr/Health
연락처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053-760-1271
이 보도자료는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13년 7월 8일 1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