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여우 6마리, 소백산국립공원 방사

서울--(뉴스와이어)--환경부(장관 윤성규)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27일 경북 영주시 단산면 소백산국립공원 일원에 토종여우 세 쌍(6마리)을 방사했다.

이날 방사된 여우는 ‘토종여우 복원사업’을 위해 중국에서 들여와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이 관리하고 있던 1~2년생 개체들이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공단 종복원기술원의 경북 영주 중부복원센터에서 서식중인 토종여우 26마리 중 야생성이 우수한 6마리를 선별해 방사했다.

※ 행사 일시 및 장소 : 2013년 9월 27일(금) 11:30, 경북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161번지

특히, 이번 야생방사는 토종여우의 자연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의견과 국내외 사례를 반영한 ‘연방사(Soft Release)’ 방법을 도입해 실시됐다.

연방사는 여우 서식환경과 유사한 장소를 자연 방사장으로 조성해 야생에 방사하기 전 개체상태나 적응 정도에 따라 기간을 설정해 적응 훈련하고, 적응 후에는 출입문을 개방해 자연스러운 출입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현재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자락에 대지 1만 4,400㎡의 자연 방사장 조성해 연방사 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방사 후에는 방사한 개체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사후관리 전담 2개 팀이 방사 6개월까지 주야간 집중 현장 모니터링(CDMA, VHF 위치추적 등)을 실시하고, 이후 배설물 수집분석 등의 간접관리도 실시할 예정이다.

권철환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장은 “토종여우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서식지 감소와 불법 올무 설치 등 외적 요인들로 인해 여우의 생존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며 “이를 하나하나 슬기롭게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꾸준한 야생방사를 실시한다면 장기적으로는 소백산을 넘어 우리나라의 전체 생태계에서 여우가 안정적으로 잘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참고 : 캐나다(앨버타 주)는 여우 야생방사 개체의 20% 생존율에도 불구하고 10년 이상 지속적인 방사를 통해 문제점을 해소하며 성공적으로 복원했음

환경부 관계자는 “토종여우 복원사업은 우리나라에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여우와 여우가 살아가는 아름다운 서식환경을 우리나라 후손들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후손들과 약속된 사업”이라며 “이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체방사와 더불어 서식지 보호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지역주민의 불법 사냥도구 수거 활동, 밀렵·밀거래 감시활동 등을 지원하고, 지역 주민으로 ‘여우 명예 보호원’을 구성해 운영하는 등 여우 복원사업에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 2013년 7월에 여우 10마리 추가 도입, 2013년 들어서 총 13회에 걸쳐 불법엽구 수거 활동 실시, 지역 5개 면 주민 간담회 개최, 지역주민 ‘여우 명예 보호원’ 구성 운영 실시 등

환경부 개요
환경오염으로부터 국토를 보전하고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유지, 국민들이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구환경 보전에도 참여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실, 환경정책실, 물환경정책국, 자연보전국, 자원순환국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으로 구성돼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등 8개 지역 환경청 등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한양대 교수를 역임한 윤성규 장관이 2013년부터 환경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e.go.kr

연락처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고종희
044-201-725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