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정보센터, ‘공공저작물의 관리방안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설명회 개최

- 공공기관 보유 저작물 효율적 관리 및 민간 이용 활성화 기대

서울--(뉴스와이어)--한국문화정보센터(소장 최경호)는 정부의 정부 3.0 정책 추진에 따라 공공저작물의 민간 이용 활성화를 촉진하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제도인 공공누리의 도입 및 보급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누리는 공공저작물에 이용조건을 표시하여 국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제도이다.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를 기본조건으로 하며 기본조건의 조합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지난 7월 30일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정 및 창조경제 실현을 목표로 하는 정부 3.0 추진으로, 공공저작물의 자유로운 민간 활용 기반이 마련되고 개방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공개된 공공저작물의 무분별한 이용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로써 공공누리 도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문화정보센터는 공공누리 전담 관리 기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와 한국문화정보센터는 공공저작물에 대한 공공누리 적용을 확산하기 위하여 10월 2일 오후 3시부터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소강당에서 공공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공공저작물의 관리방안 및 가이드라인 등을 소개하는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공공저작물 개방에 대한 법적·정책적 근거와 공공누리의 내용을 소개하고 공공누리의 등록 방법 및 공공저작물의 권리 확보 방안에 대해 안내하며 공공저작권 담당자의 애로사항 공유 및 공공누리 활성화를 위한 의견 수렴을 할 계획이다.

한국문화정보센터 최경호 소장은 “이번 설명회를 계기로 공공기관이 보유한 다수의 저작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국민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양질의 다양한 저작물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공공누리 및 설명회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공누리 사이트(www.kogl.or.kr)를 참조하거나 한국문화정보센터 공공저작물팀(02-3153-2872~3)에 문의하면 알 수 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는 주기적이고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기관의 공공저작물의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9월 23일부로 한국문화정보센터를 공공저작권 신탁관리기관으로 지정한 바 있으며, 한국문화정보센터는 현재 24개 기관 약 18만 건의 공공저작물을 공공저작권 신탁관리시스템(www.alright.or.kr)을 통해 제공 중이고 지속적으로 제공 건수를 확대할 예정이다.

한국문화정보센터 개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문화정보화 전담기관으로 문화관련 공공기관의 문화정보화 촉진과 지식정보사회에 부응하는 문화정보의 지식화를 도모하기 위한 관련 정책개발 및 사업을 진우원함으로써 창의적 지식정보사회의 기반구축을 위해 설립됐다. 문화지식/콘텐츠 창출 및 활용을 위한 개방 공유 협업 환경 구축 - 문화전문인 지원을 위한 문화정보서비스 체계 마련 - 문화창작 및 향유를 위한 유비쿼터스 지원 서비스 - 문화 지식/콘텐츠 유통활성화 기반 구축 - 디지털 문화콘텐츠 개발 육성 - 문화창작물의 산업화를 위한 온라인 지원 체계 구축 정보기술을 통하여 삶의 가치를 고양시키고, 국민들의 문화예술적 삶의 가치를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문화정보화 사업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문화정보서비스에 대한 기반을 확대하고 문화정보화 전반의 전문기술지원을 강화하여 수요자 중심의 문화정보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http://www.kogl.or.kr
http://www.alright.or.kr

웹사이트: http://www.kcisa.kr

연락처

한국문화정보센터
공공사업부
주임 김민지
02-3153-2872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