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위기 대응 방안 모색하는 ‘제3차 인구 포럼’ 개최

서울--(뉴스와이어)--인구위기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제3차 인구 포럼’을 6월 19일 (목) 오후 2시부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대회의실에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최로 개최한다.

관련 전문가, 정부부처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이번 포럼은 모든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은 저출산 극복의 첫걸음이라는 주제 아래 아동양육과 보호에 초점을 맞추어 한부모 등 취약가구 아동에 대한 지원방안과 현장에서 실천될 수 있는 아동학대 예방 대응체계에 대해 폭넓게 논의한다.

이영찬 보건복지부 차관은 축사를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아동과 가족 만들기가 저출산 극복의 근본적 처방이라고 강조하면서 출산정책의 패러다임을 아동과 가족 중심으로 전환해야 하며 출산인센티브 차원을 넘어 경제·사회정책을 포함한 국정운영 방향의 큰 틀에서 인구위기를 고민해야 할 시점임을 언급했다.

또한 이러한 문제의식을 담아 향후 개최될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에서 저출산 관련 보완대책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지는 발제와 토론에서는 저출산 대응 관점에서 아동정책이 재조명될 계획이다.

발제에서는 근본적 저출산 대책은 태어난 모든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발달할 수 있다는 믿음을 우리 사회가 갖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믿음이 생길 때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저출산의 덫에서 우리 사회가 벗어나 출산율이 반등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특히, 보육지원 강화, 출산 인센티브에 집중되었던 저출산 대응책도 아동을 중심으로 근본적으로 재검토 되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번 포럼을 준비한 보건사회연구원 관계자는 포럼에서 논의된 취약가구 아동, 특히 한부모 가구 아동에 대한 양육지원 현실화 문제는 모든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위한 사회적 지지망 구축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의지를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하면서 정부차원의 검토 필요성을 언급했다.

보건복지부 소개
보건복지부는 보건 식품 의학 정책, 약학정책, 사회복지, 공적부조, 의료보험, 국민연금, 가정복지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정부 부처이다. 기획조정실, 보건의료정책실, 사회복지정책실, 인구정책실 등 4개실이 있다. 산하기관으로 국립의료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정신병원, 국립소록도병원, 국립재활원, 국립결핵병원, 망향의 동산 관리소, 국립검역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hw.go.kr

연락처

보건복지부
인구정책과
강준
044-202-337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