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영 작가, 해드림출판사에서 펴낸 소설집 ‘바우’로 함께 사는 길 모색하다
- 강원도 작가, 구성진 우리말로 인정 넘치는 우리 정서를 그리다
정재영은 등단 32년 차 베테랑 작가다. 현재 횡성초등학교 교장으로 부임 중인 그의 소설에는 자기 고장 특유의 표현들이 살뜰하게 실려 있다. 비문학은 물론 순수문학에서 마저 번역 투의 문장이 즐비한 작금의 풍토를 감안했을 때, 순우리말을 구성지게 구사한 <바우>는 자못 신선하다. 이번 소설집에도 실린 소설 ‘그 여름의 잔해’를 평하면서 문학평론가 신호는 ‘토박이말의 보고(寶庫)’라 표현했다.
“끝으로 덧붙일 것은, 토박이말의 보고(寶庫)라 할 이 작품의 문체면의 특징이니, 이 또한 우리의 것을 사랑하여 지켜나가는 작가의 태도에서 나온 것인즉, 작금의 노벨문학상이 세계 공통의 문체를 다루면서도 제나라 독특한 것을 겸비한 작품들에 주어지는 경향에 상도할 때, 이 작품이 지니는 문체적 특징은 분명 우리문학의 미래에 밝은 희망을 비추어주고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군중 속의 고독이란 표현은 이제 식상해져버렸다. 산업사회 이후로 인간은 객체화되고 대상화되고 수단시 되었다. 사회가 고도화 될수록 사각지대의 존재는 더 심각해지면서 더 외면 받아 왔다.
하지만 시대마다 소외된 이웃에게 눈을 돌린 문인들은 항상 있어왔다. <운수 좋은 날>을 쓴 현진건,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쓴 조세희 등이 그렇다. 그리고 소설집 <바우>의 저자 정재영 또한 소설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함께 사는 길을 모색하는 것’으로 삼는다. 그는 자신의 책 서두를 통해 이렇게 말했다.
“21세기 지식 산업사회가 도래하면서 인간은 더욱더 고독한 존재가 되었습니다. 철저히. 그러기에 ‘소통’이 단연 우리들 삶의 키워드로 자리매김 되고 있는 게 작금의 현실이구요. 매 순간 수많은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면서도 철저히 개인들은 고립돼 있습니다. 섬처럼. 문학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세계는 ‘함께 사는 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소설이 추구해야 할 문제 가운데 하나가 이런 소외 된 인간들에게 끊임없는 작가의 관심과 애정을 통해 ‘함께 사는 길’을 모색하는 길 일 것입니다. 모름지기 작가는 소외 된 이웃들에게 작품을 통해 끊임없는 애정과 손길을 내밀어야 할 테죠? 어쩌면 그건 작가의 도리이고 당위 일 것입니다. 이번 묶은 소설집 <바우> 도 그런 연장선상에서 ‘다 함께 사는 길’을 나름대로 모색해 봤습니다.”
정재영은 1982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이 당선되었고, 1998년 ‘문예사조’ 신인상에 중편소설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한국문인협회 회원(문인복지위원), 한국소설가협회 회원이다. 강원문학교육연구회 회장과 한국문인협회 횡성지부 회장, 한라대학교 미디어콘텐츠과 외래교수를 역임했다. 그간 저서로는 ‘횡성의 구비문학’(共著), ‘마을신앙’(共著), ‘화성의 옛터’(共著), 장편 소설 ‘아름다운 것들’, 중편 소설집 ‘물속에 뜬 달’이 있다.
정재영 저
면수 236쪽 | ISBN 979-11-5634-042-3 | 03810
| 가격 13,000원 | 사이즈 150*220 | 2014년 07월 31일 | 문학 | 한국소설
해드림출판사 소개
해드림출판사는 휴머니즘·정직·작가주의를 내세워, 단 한 권의 책이라도 독자의 손에 들리도록 노력하고 있다. 현재 트윗과 페이스북 등 SNS 도서 홍보망을 탄탄히 구축해 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CEO출판=자기경영출판]이라는 새로운 출판 형태를 기획하여 많은 저자와 꿈과 희망과 도전을 공유하고 있다. CEO출판(자기경영출판)은 저자가 출판비를 투자하는 대신 판매수익 전부를 차지하고, 제작, 유통, 판매, 홍보를 맡아주는 출판사에 소정의 수수료만 지급하는 출판 형태를 말한다. 한마디로 출판사는 출판매니저 역할을 해주는 것이며, 개인 저자뿐만 아니라 기업체 차원의 출판에서도 상호 Win-Win할 수 있는 파트너십의 출판이다.
웹사이트: http://www.sdt.or.kr
연락처
해드림출판사
이승훈
02-2612-555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