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 한국군 합동지휘통제체계 성능개량 전력화

서울--(뉴스와이어)--방위사업청(청장 장명진)은 한국군 합동지휘통제체계(KJCCS, Korea Joint Command & Communication System) 성능개량(2012. 8. ~ 2015. 4.)을 업체주관(LG CNS) 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하여 운용시험평가에서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고, 2015년 5월 1일부로 체계를 전력화하였다.

한국군 합동지휘통제체계는 1999년 한국군 최초로 전술지휘통제자동화체계(C4I)인 지휘소자동화체계(CPAS)*를 운영하였으며, 2007년 12월 육해공군 전술지휘통제자동화체계(C4I)*와 연동기능 추가 등 합동작전 기능을 보강하여 지금의 합동지휘통제체계라는 무기체계로 전력화하였다.

* 전술지휘통제자동화체계(C4I) : 지휘(Command), 통제(Control), 통신(Comunication), 컴퓨터(Computer) & 정보(Intelligence)

* 지휘소자동화체계(CPAS) : Command post automation system

이후, 전장환경 변화에 따라 소요군 요구사항인 체계생존성 보장, 연동대상체계 증가에 따른 연동성 확보, 장비 노후화 개선 등을 해결하기 위해 2012년 8월부터 32개월에 걸쳐 합동지휘통제체계 성능개량체계를 완성하였다.

이번 합동지휘통제체계 성능개량체계를 전력화함에 따라 체계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으며, 주요 개선사항으로 서버처리능력 확장(2배), 체계사용자 수용능력 확대(4배) 및 센터 서버간 네트워크 대역폭* 확장(3.5배) 이다.

* 네트워크 대역폭 : 통신시스템의 자료 전송율

특히, 네트워크 단절 및 장애 발생 등 우발상황 발생 시 즉각 전환운영이 가능하도록 센터서버 3개를 동시에 운용함으로써 체계 운용의 효율성과 생존성을 크게 증대시켰다.

그리고, 합동지휘통제체계 성능개량체계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도 다양한 기능개선이 이루어졌다. 통합결심지원체계* 등을 신규 개발하였고, 사용자의 편의성 및 다양한 기능 제공을 위해 기존 상황도를 전면 개선하였으며, 타 체계와의 연동성도 기존보다 3배 이상 증가시켜 합동작전간 원활한 수행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 통합결심지원 : 위기/전시단계에서 수준별 결심지점 및 관련된 결심지원도표를 통합 관리하여 지휘관의 결심을 지원하는 기능

이에 따라, 전⋅평시 지휘통제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운용되는 합동지휘통제체계가 성능개량을 통해 더욱 빠르고 정확한 전술자료 교환 및 상황인식 공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이번 사업 간 기존 합동지휘통제체계에 적용되었던 외국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국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로 전환하여 외국산 제품 위주로 구성되었던 국방 영역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부분을 국산화 하였고, 국가 표준인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기술 적용을 통해 관리자의 유지보수가 편리한 체계로 성능개량한 것도 획기적인 성과 라고 할 수 있다.

*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 Data base management system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대한민국의 공공부문 정보화 사업시 플랫폼별 표준화된 개발 프레임워크

방위사업청 지휘정찰사업부장(공군준장 김보현)은 “합동지휘통제체계가 성능개량됨에 따라 네트워크 중심전의 핵심체계 성능이 향상되었고, 합참 중심의 합동전장의 기본 개념인 정보전위주의 통합전투 능력을 포함한 작전수행 능력이 한 단계 발전됨에 따라 향후 전장 환경에서 최상의 전투력을 유지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웹사이트: http://www.dapa.go.kr

연락처

방위사업청
지휘정찰사업부 합동지휘통제체계사업팀
02-2079-521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