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의 오메가-3 지방산, 사망률 감소에 도움돼
호두 함유 식물성 오메가-3가 사망률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 미국심장학회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게재
식물성 오메가-3와 해양성 오메가-3를 모두 포함한 식단에서 사망률 감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밝혀져
스페인의 비만 영양 생리학 연구소(CIBERobn) 소속 알렉스(Dr. Aleix Sala) 박사의 책임 하에 진행된 본 연구는 6년간 7,000명의 PREDIMED 연구 참가자를 대상으로 오메가-3 지방산 섭취와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이 결과, 하루 에너지의 0.7%를 호두와 같은 식물성 오메가-3로 섭취한 집단이 비교적 적은 양의 식물성 오메가-3를 섭취한 대조군보다 사망률이 더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오메가-3는 혈액 순환을 돕는 필수 지방산 중의 하나로 심혈관 건강, 인지 기능 등 전반적인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견과류 중에서도 호두는 식물성 오메가-3의 일종인 알파리놀렌산(ALA)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한 줌의 호두(28g)에는 2.5g의 알파리놀렌산이 함유돼있다.
해양성 오메가-3를 이미 섭취한 상태에서 식물성 오메가-3의 추가 섭취가 심혈관 질환 예방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식물성 오메가-3 지방산이 심혈관 질환, 암, 치매 등으로 비롯한 전체 사망의 위험을 28% 가량 낮춘다는 사실은 이번 연구를 통해 증명됐다. 또한,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식단에서 식물성 오메가-3는 주로 호두 섭취에서 얻을 수 있었음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어떤 종류의 오메가-3가 더 이로운지를 넘어, 어떤 음식을 섭취해야 다양한 영양소를 얻을 수 있나에 주목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며, “사망 위험을 줄이는 효과는 단지 식물성 오메가-3 뿐만 아니라, 호두에 다량 함유된 불포화 지방산, 식이섬유, 무기질, 비타민 E, 폴리페놀, 피토스테롤과 같은 다른 성분들과도 연관이 있다. 또한, 식물성 오메가-3와 해양성 오메가-3를 모두 포함한 식단이 균형적이고 건강한 식단이다.“라고 알렉스 박사는 설명했다.
캘리포니아 호두협회는 세계 유수의 기관 및 연구자들과 호두의 영양학적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호두가 인지 기능, 심혈관, 암, 그리고 체중관리 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발견하는 데에 이바지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walnuts.co.kr
연락처
캘리포니아 호두협회 홍보대행
웨버샌드윅
이한별
02-6250-7058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캘리포니아 호두협회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