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케다제약, 새로운 경구용 프로테아좀 억제제인 익사조밉에 대해 일본서 승인신청서 제출
이번 승인신청서는 지난 4월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지에 게재된 세계적 규모의 3상 임상시험인 TOURMALINE-MM1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출했다. 이 임상시험에서는 익사조밉을 레날리도마이드(lenalidomide) 및 덱사메타존(dexamethasone)과 병용한 전체 경구용 3제 요법이 재발 또는 난치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무진행 생존(PFS) 기간을 유의미하게 연장시킬 뿐 아니라 관리할 수 있을 정도의 안전성 프로필과 편리성 및 경구 투여의 실용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입증됐다.
앤드류 플럼프(Andrew Plump) 다케다제약 최고의약 및 과학책임자는 “다발성 골수종은 여전히 치명적이고 재발성이 있는 난치성 희귀 암이다. 우리는 환자들이 현재 안고 있는 부담을 어느 정도 경감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내약성이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 대응해TOURMALINE-MM1임상을 포함한 세계적 규모의 3상 임상시험 프로그램을 디자인했다”며 “이번에 익사조밉이 승인될 경우, 프로테아좀 억제제를 포함한 전체 경구용 3제 요법이 일본에서 최초로 가능해 질 것이다. 회사는 익사조밉 개발에 기여한 환자와 연구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면서 이 혁신적 신약을 일본 환자들에게 제공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은 형질세포(plasma cells)에서 발생하는 혈액 암으로 골수에서 발견된다. 다발성골수종은 일단의 형질 세포, 또는 골수종 세포들이 종양을 만들고 증식하며 형질세포의 수를 기준치보다 증가시킨다. 형질세포가 체내를 광범위하게 순환하기 때문에 이들은 인체의 많은 뼈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으며, 따라서 압박골절, 뼈 용해 및 관련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다발성골수종은 뼈와 면역체계, 신장 및 개인의 적혈구 수에 영향을 미쳐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증상으로는 뼈 통증과 피로, 무력감 등이 있다. 다발성골수종은 희귀암의 일종으로 매년 세계적으로 11만 4000건이 새로 발생하고 있다. 일본 내에서는 약 1만 4000 명의 다발성 골수종 환자가 보고되었다.
익사조밉(Ixazomib) 개요
익사조밉은 다발성 골수종, 전신 경쇄(AL) 아밀로이드증 및 기타 악성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진행중인 새로운 경구용 프로테아좀 억제제이다. 익사조밉은 2016년 2월 일본 후생노동성이 재발 또는 난치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다. 미국에서는 TOURMALINE-MM1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2015년 7월 식약청(FDA)에 신약승인신청서를 제출하여, 전문의약품 허가신청자 비용부담법(PDUFA)에 따른 ‘우선심사’일 4개월 전인 2015년 11월에 다발성 골수종 환자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 이에 따라 익사조밉은 ‘닌라로’(NINLARO®)라는 상품명으로 미국에서 2015년 12월에 출시됐다.
TOURMALINE 임상시험 개요
익사조밉의 종합 임상 개발 프로그램인 TOURMALINE은 전세계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그들을 치료하는 의료 전문인들을 위한 혁신적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다케다제약의 노력을 더욱 강화하는 임상 연구이다. TOURMALINE에는 주요 다발성 골수종 환자를 개별적으로 조사 연구하는 4건의 임상시험과 경쇄(AL) 아밀로이드증 환자 치료를 위한 임상시험 1건 등 5건의 임상시험이 포함돼 있다.
· TOURMALINE-MM1, 재발성 및/또는 난치성 다발성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익사조밉과 레날리도마이드(lenalidomide) 및 덱사메타존(dexamethasone)을 병용하는 위약을 대조
· TOURMALINE-MM2, 다발성골수종으로 새로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익사조밉과 레날리도마이드 및 덱사메타존을 병용하는 위약을 대조
· TOURMALINE-MM3, 유도요법과 자가 조혈 모세포 이식(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 ASCT) 후 다발성골수종으로 새로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유지기치료(maintenance therapy)로서 익사조밉과 위약을 대조
· TOURMALINE-MM4, ASCT를 거치지 않고 새롭게 진단 받은 다발성골수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유지기치료로서 익사조밉과 위약을 대조
· TOURMALINE-AL1, 재발성 또는 난치성 AL 아밀로이드증 환자를 대상으로 익사조밉과 덱사메타존의 병용과 의사가 선택한 섭생법을 대조
TOURMALINE 외에도 많은 연구자들이 전 세계 환자를 대상으로 익사조밉을 평가하는 연구를 개시했다.
희귀 의약품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
익사조밉은 2016년 2월 일본 후생노동성이 재발 또는 난치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다. 희귀의약품 지정과 관련한 더 자세한 정보는 2016년 2월 26일에 배포한 아래 보도자료를 보면 알 수 있다.
http://www.takeda.co.jp/news/2016/20160226_7321.html
중요 안전성 정보(미국)
경고 및 주의사항
· NINLARO 투여로 혈소판 감소증이 보고됐다. 치료 중에는 최소 월 1회 혈소판 수를 점검하고 최초의 3 주기 동안에는 보다 빈번한 모니터링을 검토한다. 필요에 따라 투여량을 조정한다. 각 28일 주기의 14~21일 사이에 혈소판 최저치가 발생했으며 다음 주기 시작 즈음 기준치로 회복됐다.
· NINLARO 설사, 변비, 오심, 구토를 포함한 위장관 독성이 보고됐으며 때로는 지사제 및 구토 억제제, 보조 치료가 필요할 경우가 있다. ‘닌라로’ 투여군에서는 3개 약제 중 1개 이상의 약제 사용을 중단했을 경우 환자의 1%에서 설사가 보고됐으며 위약 투여군에서는 그러한 환자가 1% 미만이었다. 증상이 심하면 투여량을 조정한다.
· NINLARO 투여로 말초 신경병증(주로 감각적인)이 보고됐다. 가장 흔하게 발생한 것으로 보고된 부작용은 말초 감각 신경병증이었다(‘닌라로’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의 부작용 발생률은 각각 19%와 14%였다). 말초 운동 신경병증은 어느 환자군에서도 흔한 것으로 보고되지 않았다(< 1%). 말초 신경병증은 3개 약제 중 1개 이상의 약제 사용을 중단했을 경우 두 환자군 모두에서 일어났다. 환자의 말초 신경병 증상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투여량을 조정한다.
· NINLARO 투여로 말초 부종이 보고됐다. 체액 저류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적기에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치료를 제공한다. 증상이 3급 또는 4급일 경우 처방 정보에 따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이나 ‘닌라로’의 투여량을 조정한다.
· 피부 반응: NINLARO 투여로 반점상 구진과 반점상 발진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됐다. 발진은 3개 약제 중 1개 이상의 약제 사용을 중단했을 경우 두 환자군 모두에서 1% 미만으로 나타났다. 발진은 보조 치료나 투여량 조정으로 관리한다.
· NINLARO 간 독성이 보고됐다. ‘닌라로’로 치료한 환자 중 1% 미만에서 약물로 인한 간 손상, 간세포 손상, 간지방증, 담즙울체성 간염 및 간 독성이 보고됐다. 간 기능 장애 부작용이 보고됐다(‘닌라로’ 투여군에서는 6%, 위약 투여군에서는 5%). 치료 기간 동안 간 효소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투여량을 조정한다. 치료 중 간 효소 수치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투여량을 조정한다.
· 태아 독성: NINLARO은 태아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여성 환자에게 태아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알리고 피임을 권해야 한다. 또한 치료 중과 NINLARO의 마지막 투여 후 90일 간 피임법을 사용하도록 권해야 한다.
부작용
‘닌라로’ 투여군에서 가장 흔하고(≥ 20%) 위약 투여군 보다 더 많이 발생한 부작용은 설사(각각42%, 36%), 변비(각각34%, 25%), 혈소판 감소증(각각78%, 54%; 부작용과 실험실 데이터를 취합한 결과), 말초 신경병증(각각28%, 21%), 오심(각각26%, 21%), 말초 부종(각각25%, 18%), 구토(각각22%, 11%), 요통(각각21%, 16%)등이었다. 환자 중 2% 이상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고된 중증 부작용은 혈소판 감소증(2%)과 설사(2%)이다.
특정 인구 집단의 약물 사용
· 간 장애 환자: 중등도 또는 중증 간 장애 환자에게는 NINLARO 개시 용량을 3mg로 줄여야 한다.
· 신 장애 환자: 중증 신 장애 환자나 투석을 요하는 말기 신장 질환자에게는 NINLARO 개시 용량을 3mg으로 줄여야 한다. NINLARO는 투석이 불가능하다.
· 수유부: NINLARO 투여 여성은 수유 중단을 권해야 한다.
약물 상호작용: NINLARO와 강력한 CYP3A 유도제의 병용 투여를 피해야 한다.
NINLARO에 대한 미국 처방 정보 전문(Prescribing Information, https://www.ninlarohcp.com/safety)을 참조하기 바란다.
다케다제약(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개요
다케다제약은 과학을 삶에 변화를 주는 의약품으로 구현하여 환자에게 보다 나은 건강과 더 밝은 미래를 가져다 주기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는 연구개발 기반의 글로벌 제약회사이다. 다케다는 종양학, 위장병학, 중추신경계 치료분야에 연구 노력을 쏟고 있다. 또한 후기 백신 후보뿐만 아니라 특수심혈관질환 분야에도 특별한 개발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다케다는 사내 및 파트너들과의 연구개발을 통해 혁신의 선두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신규 혁신 제품은 신흥 시장에서뿐만 아니라 특히 종양학과 위장병학에서도 다케다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3만 명 이상의 다케다 직원들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 하고 있으며 70여 국가에서 헬스케어 파트너들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http://betterhealth.takeda.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케다제약에 관한 추가 정보는 자사 웹사이트(www.takeda.com)에서, 다케다제약의 글로벌 종양 사업 부문 브랜드인 다케다 종양사업(Takeda Oncology)에 관한 추가 정보는 웹사이트(www.takedaoncology.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즈니스 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60705005583/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s://www.takeda.com/
연락처
다케다제약(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일본 언론 문의
타다 츠요시(Tsuyoshi Tada)
+81 (0) 3-3278-2417
tsuyoshi.tada@takeda.com
일본 이외 지역 문의
에이미 앳우드(Amy Atwood)
+1-617-444-2147
amy.atwood@takeda.com
이 보도자료는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