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저출산대응 정책기획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실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저출산 대책 논의
저출산 문제는 대부분의 OECD국가들의 공통된 문제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15년간 합계출산율이 1.3명 미만에서 등락을 반복하여 초저출산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 합계출산율 : 출산 가능한 여성(15~49세) 1명이 평생 출산하는 평균 자녀 수
* 초저출산 사회 : 합계출산율 1.3명 이하
정부가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하여 2016년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시행했으나 통계청의 인구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6월 출생아수는 약 21만명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약 1.7만명 감소(△7.8%)하여 저출산 대책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인력개발원은 저출산 극복을 위한 출산정책의 전략적 접근과 지역중심의 기획능력 강화를 위한 저출산대응정책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인력개발원 강현주 교수 기획으로 ▲정부의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및 저출산 보완대책의 내용 ▲저출산 원인과 환경 분석 ▲저출산의 인구학적 현상과 영향 ▲선진국의 현황과 저출산 대응정책 ▲저출산 대응 우수 지자체 사례 ▲가족친화경영 기업 우수사례 발표 등으로 구성되어 저출산 문제에 대한 지자체 담당자들의 인식을 새롭게 하고 전문성과 기획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번 교육의 교육생으로 참석한 한 공무원은 저출산이 이렇게 심각한 상황인 줄 몰랐다며 나의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했었는데 솔선수범해 저출산 극복을 위한 노력을 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고 교육소감을 밝혔다.
이번 교육에서는 중앙정부·지자체·학계·기업이 각각의 입장에서 저출산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활발히 토의하면서 교육생과 강사진의 일체감과 집중도가 매우 높았고 특히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시행에 따른 지자체의 구체적인 역할을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인력개발원 류호영 원장은 “저출산 고령사회 문제는 대한민국의 존망이 달린 주요 과제로, 인구절벽의 도래를 막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가 문제인식을 갖고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며 “인력개발원에서는 확고한 교육철학과 계획을 가지고 보건복지 인재를 양성하여 초저출산의 덫에서 벗어나는데 적극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인력개발원은 2009년부터 저출산 고령사회에 따른 인식 개선과 정책 기획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꾸준히 시행해왔으며 2017년에는 교과목 및 교육대상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웹사이트: https://www.kohi.or.kr
연락처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경영기획부
유어진
043-710-9116
이메일 보내기